국토안전관리원 교육센터 김천 이전계획에 진주시 몽니

입력 2021-03-31 16:07:26

2009년 LH공사 통합당시 연금관리공단 전주시에 양보한 전례와 달라 논란

김천혁신도시 전경. 매일신문 DB
김천혁신도시 전경. 매일신문 DB

국토안전관리원 교육센터 김천 이전을 두고 경북 김천시와 경남 진주시가 갈등을 빚고 있다. 특히 진주시는 지난 24일 예정된 국가균형발전위원회 회의마저 불참하는 등 몽니를 부려 관계자들을 당혹게 하고 있다.

지난해 12월 경남혁신도시(진주)의 한국시설안전공단이 경북혁신도시(김천)의 한국건설관리공사를 흡수 통합해 국토안전관리원으로 새롭게 출범했다.

국토안전관리원은 국가 균형발전과 두 지자체 간의 형평성을 고려해 전국에 5개 지사를 두고 교육센터(옛 인재교육원)를 김천으로 이전하는 것을 골자로 하는 '지방 이전계획 변경안'을 마련해 국토교통부에 제출했다. 국토교통부는 이를 국토균형발전위원회 안건으로 상정해 24일 회의에서 통과시킬 예정이었다.

하지만 진주시는 교육센터 이전 불가를 줄기차게 주장하며 이날 열린 회의를 불참하면서 안건 통과가 무산됐다. 이에 따라 4월 2일 다시 회의가 열릴 예정이다.

이같은 진주시의 행태가 지난 2009년 LH공사 합병 당시와는 사뭇 다르다는 지적이 나온다. 2009년 전북혁신도시(전주)로 이전 예정이던 주택공사가 경남혁신도시(진주)의 토지공사와 합병해 LH공사로 통합되자 이전 기관 한 곳을 빼앗겼다고 생각한 전주시의 반발이 컸다.

당시 진주시는 경남혁신도시로 이전이 확정돼 있던 연금관리공단을 전북혁신도시에 양보하는 타협안을 제안하면서 두 도시간이 갈등이 봉합된 바 있다.

김천시는 지난해 국토안전관리원 설립을 위한 법 제정에 대해 반대 의견을 내지 않았다. 혁신도시 이전기관 한 곳을 빼앗기는 셈임에도 국토부 결정에 이의를 달지 않았던 것은 두 기관의 통합 이전 단계부터 적정한 보상에 대해 논의를 했기 때문으로 알려졌다.

김천시 관계자는 "상식선에서 건설관리공사가 김천혁신도시에 있다가 진주로 통합 이전됐으니, 김천시에 대해 보상을 해달라고 국토부와 국토안전관리원에 요구했던 것"이라며 "국토안전관리원이 제안한 교육센터 이전을 진주시가 막무가내로 반대하는 것은 적절하지 않다"고 했다.

최신 기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