미얀마 군부 총격에 27일에만 사망자 100명 육박, 5세 유아도 포함[종합]

입력 2021-03-27 20:42:28 수정 2021-03-27 22:10:19

미얀마 제2의 도시 만달레이에서 시위 진압 군경의 총에 맞아 숨진 14세 소년 툰 툰 아웅의 가족과 친구들이 23일(현지시간) 장례식에서 울음을 터뜨리고 있다. 툰 툰 아웅은 전날 집 문을 잠그던 중 군부 쿠데타 규탄 시위를 진압하던 군경의 무차별 총격에 목숨을 잃은 것으로 알려졌다. 연합뉴스
미얀마 제2의 도시 만달레이에서 시위 진압 군경의 총에 맞아 숨진 14세 소년 툰 툰 아웅의 가족과 친구들이 23일(현지시간) 장례식에서 울음을 터뜨리고 있다. 툰 툰 아웅은 전날 집 문을 잠그던 중 군부 쿠데타 규탄 시위를 진압하던 군경의 무차별 총격에 목숨을 잃은 것으로 알려졌다. 연합뉴스

'미얀마군의 날'인 27일 미얀마 전역에서 또 다시 무차별 총격이 가해져 100여명에 달하는 시민들이 사망했다.

군경의 유혈진압 속에 민주 진영과 연대 움직임을 보이는 일부 소수민족 반군이 정부군을 공격, 양측간에 치열한 전투가 벌어지는 등 사태가 최악으로 치닫고 있다.

현지 매체 미얀마 나우는 "미얀마군의 날에 군부는 시민들을 공포로 몰아넣었다"며 "오후 4시30분(현지시간) 자체 집계로 40개 도시에서 91명이 사망했다"고 보도했다. 이날은 지난달 1일 군부 쿠데타 이후 하루 기준으로 가장 많은 시민들이 사망한 날로 집계됐다.

사망자는 양곤, 만달레이, 사가잉, 바고, 마그웨, 카친 등에서 전국에서 발생했다. SNS에 현지인들이 올리는 사망자 수는 시간이 갈수록 늘고 있으며 "100명이 넘는다"는 게시물도 퍼지고 있다.

시위대는 '미얀마군의 날'인 이날을 애초 이름인 '저항의 날'로 바꿔 부르며 거리 시위에 나섰다.

미얀마가 1945년 제2차 세계대전 중 자국을 점령한 일본군에 대항해 무장 저항을 시작한 날을 기념한 '저항의 날'은 1962년 군부 정권이 쿠데타로 집권한 뒤 '미얀마군의 날'로 이름이 바뀌어 불리고 있다.

국영 MRTV는 전날 밤 보도에서 시위대를 향해 "머리와 등에 총을 맞을 위험에 처할 수도 있음을 알아야 한다"고 보도, 경고 메시지를 보냈고 실제로 이날 무자비한 유혈 탄압에 나섰다.

현지 SNS에는 행인과 차, 오토바이 등을 향해 군경이 무차별적으로 총을 쏘는 장면이 속속 올라왔다.

남부 다웨이 지역에서 지나가는 오토바이를 향해 군경이 갑자기 차를 세우고 총격을 가하는 장면도 많은 네티즌의 공분을 자아냈다.

이와 함께 군경이 거리에서 시신을 유기하는 모습들도 SNS에 올라왔다. 특히, 어린이 희생자들이 잇따랐다. 현지 매체 이라와디는 7살, 10살, 13살 아이들이 총에 맞아 숨졌다고 보도했다.

4일(현지시간) 태국 수도 방콕의 미얀마 대사관 앞에서 미얀마 군부의 쿠데타를 규탄하는 시위대가 민 아웅 흘라잉 군 최고사령관의 사진을 불태우고 있다. 흘라잉 최고사령관은 지난 1일 군부 쿠데타로 미얀마 정권을 장악했다. 연합뉴스
4일(현지시간) 태국 수도 방콕의 미얀마 대사관 앞에서 미얀마 군부의 쿠데타를 규탄하는 시위대가 민 아웅 흘라잉 군 최고사령관의 사진을 불태우고 있다. 흘라잉 최고사령관은 지난 1일 군부 쿠데타로 미얀마 정권을 장악했다. 연합뉴스

미얀마 나우는 만달레이에서 13살 소녀가 집에서 총에 맞아 숨졌다고 전했다. 로이터 통신은 현지 매체를 인용해 만달레이 사망자 가운데 5살 어린이도 있다고 보도했다.

한 살배기가 고무탄에 눈을 맞아 붕대를 감은 사진도 급속도로 퍼졌다. 시위대 피해가 커지면서 재미얀마 한인회는 이날 오후 긴급공지문을 통해 최대한 외출을 삼가고 외출하더라도 시위지역에 접근하지 말라며 안전을 당부했다.

연합뉴스
연합뉴스

군경의 유혈 진압에 대해 임시정부 역할을 하는 '연방의회 대표위원회'(CRPH)가 임명한 사사 유엔 특사는 온라인 포럼에서 "이날은 군부 수치의 날"이라고 비판했다.

사사 특사는 "군부 장성들은 300명 이상의 무고한 시민들을 죽여놓고는 미얀마군의 날을 축하하고 있다"고 덧붙였다. 이날 양곤의 미국 문화원에도 총알이 날아 들어왔으나 부상자는 없다고 주미얀마 미국 대사관이 밝혔다.

민 아웅 흘라잉 미얀마군 최고사령관이 27일 수도 네피도에서 미얀마군의 날을 기념하는 군사 퍼레이드를 사열하고 있다. 연합뉴스
민 아웅 흘라잉 미얀마군 최고사령관이 27일 수도 네피도에서 미얀마군의 날을 기념하는 군사 퍼레이드를 사열하고 있다. 연합뉴스

이런 가운데 군부는 이날 제76회 '미얀마군의 날'을 기념하며 군인과 무기들을 대거 동원해 군사 열병식을 개최했다.

민 아웅 흘라잉 최고사령관은 열병식에 앞서 행한 TV 연설에서 "안정과 안전을 해치는 폭력적 행위들은 부적절하며 받아들일 수 없다"고 경고했다.

흘라잉 사령관은 또 비상사태 이후 총선을 실시하겠다는 뜻을 거듭 밝혔지만, 구체적 일자는 여전히 제시하지 않았다.

대규모 군사 열병식으로 힘을 과시한 군부가 국가 안정을 해치는 '테러행위'는 용납할 수 없다고 거듭 강조해 향후 민간인 희생은 더 늘어날 전망이다.

한편 미얀마 주요 소수민족 무장반군 중 하나인 카렌민족연합(KNU)은 태국과 국경지역에서 군 초소를 습격해 10명을 사살한 것으로 알려졌다. 이 과정에서 KNU 소속 대원 1명도 숨졌다.

현지에서는 이날 KNU와 정부군 사이에 전투가 벌어졌고, 사망자 수가 훨씬 많다는 소식도 나오고 있다.

미얀마 최대 도시 양곤 거리에서 5일(현지시간) 시위대가
미얀마 최대 도시 양곤 거리에서 5일(현지시간) 시위대가 'X'자가 그려진 군부 쿠데타 주역 민 아웅 흘라잉 최고사령관의 초상화를 짓밟고 있다. 미얀마에서는 지난달 1일 쿠데타가 발발한 이후 군경의 강경 진압으로 50여 명의 시위 참가자가 숨졌는데도 연일 군정을 규탄하는 시위가 이어지고 있다. 연합뉴스

최신 기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