도쿄올림픽 관중 제한 경제손실 17조원…"스가 정권에 타격"

입력 2021-03-21 15:24:39

해외 관중 포기 이어 내달 국내 관중 50% 제한 결정할 듯
'완전한 형태의 개최' 좌절…정권 부양 전략 차질 가능성

올해 7월 일본에서 개최 예정인 도쿄올림픽·패럴림픽은 해외 관중 없이 치르게 됐다. 사진은 도쿄 해변에 설치된 오륜 조형물의 모습. 연합뉴스
올해 7월 일본에서 개최 예정인 도쿄올림픽·패럴림픽은 해외 관중 없이 치르게 됐다. 사진은 도쿄 해변에 설치된 오륜 조형물의 모습. 연합뉴스

올해 7~9월 개최되는 도쿄올림픽·패럴림픽 때 해외 관중을 받지 않기로 함에 따라 올림픽 개최를 통해 정권을 부양한다는 스가 요시히데(菅義偉) 총리의 전략에 차질이 발생할 가능성이 커졌다.

21일 마이니치신문과 교도통신에 따르면 미야모토 가쓰히로(宮本勝浩) 간사이(關西)대 명예교수(이론경제학)는 도쿄올림픽·패럴림픽 해외 관중을 받지 않고 국내 관중을 50%로 제한했을 때 경제적 손실은 1조6천258억엔(약 16조8천800억원)에 달한다고 추산했다. 미야모토 교수는 "관광 입국을 목표로 하는 일본으로서는 영향이 크고, 방일 외국인의 경제적 공헌의 크기를 재인식하게 되는 결과"라고 진단했다.

요미우리는 해외 일반관중 포기는 일본 경제에 2천억엔(약 2조760억원) 정도의 마이너스 영향을 미칠 것이라는 견해가 많다고 전했다. 막대한 경제적 손실을 감수하면서 해외 관중을 포기한 것은 코로나19 확산에 따른 불가피한 결정으로 평가된다.

올림픽 개최에 대한 일본 국민의 불안과 해외의 회의적인 시각을 불식하는 목적도 있다. 해외 관중 포기 결정을 미루면 자칫 올림픽 개최 자체가 위협을 받을 수 있다고 판단한 것으로 보인다.

그러나 이번 결정으로 올림픽 개최와 관련한 부정적인 여론이 호전될지는 미지수라고 교도통신은 평가했다. 아사히신문도 해외 관중 포기와 관련해 "완전한 형태의 개최는 좌절됐다"며 "도대체 대회가 열릴 것인가라는 의문에 마주하게 된다"고 진단했다.

아울러 경제적 효과 감소로 올림픽 개최를 정권의 실적으로 삼으려던 스가 총리의 전략에도 차질이 발생할 가능성이 있다. 교도통신은 해외 관중이 없는 올림픽 개최에 대해 "대회(올림픽 개최)에 따른 경제효과가 줄어 정권의 전략에도 타격이 되는 것은 불가피하다"고 평가했다.

스가 총리는 도쿄올림픽을 외국인의 일본 관광 재개의 기폭제로 삼는다는 구상이었다. 해외 관중 포기로 올림픽 특수를 기대하던 관광 업계는 크게 낙담하는 분위기다.

도쿄올림픽 개최 전후로 코로나19를 얼마나 효과적으로 억제하느냐에 따라 스가 내각에 대한 평가가 좌우될 것이라는 분석도 있다. 스가 총리는 '인류가 코로나를 이겨낸 증거'로 도쿄올림픽을 개최한다고 강조해왔다.

최신 기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