여론조사 질문은 경쟁력 가닥…유·무선 비율 등 이견 못 좁혀
극적 타결 땐 19일 결과 발표…與는 박영선 단일 후보 확정
서울시장 보궐선거 후보 등록 마감이 이틀 앞으로 다가온 17일 여권은 후보 단일화를 이루어내고 '컨벤션 효과'(정치 이벤트 직후 지지율 상승 현상)를 바라보지만, 야권은 후보 단일화 협상에 합의점도 찾지 못하고 헤맸다.
애초 예정대로라면 이날부터 이틀간 오세훈 국민의힘 후보와 안철수 국민의당 후보 간 단일화를 위한 여론조사가 진행됐어야 하지만, 양측이 여론조사 방식을 두고 지난한 줄다리기를 벌여 '치킨게임'(어느 한 쪽이 양보하지 않으면 양쪽 모두 파국으로 치닫는 극단적 게임이론)이라는 비난을 자초했다.
국민의힘 정양석·국민의당 이태규 사무총장이 이끄는 단일화 실무협상팀은 협상 시한이던 이날 오전부터 논의 중단과 재개를 반복했으나 합의에 이르지 못했다. 양측은 이날 밤 9시 다시 실무협상에 들어갔다. 밤새 극적 타결이 이뤄지면 즉시 여론조사를 시작해 19일 오후에 결과를 발표한다는 계획이다.
이날 오전까지 쟁점은 여론조사 설문 문항과 유·무선전화 조사 비율이었다. 설문 문항에 소속 정당과 기호를 넣을지, '적합도'와 '경쟁력' 중에 어떤 표현을 사용할지에 대해 의견 차가 있었다. 제1야당으로 조직력에서 우위를 보이는 국민의힘은 '적합도'를, 외연 확장성을 내세우는 국민의당은 '경쟁력'을 선호한 것.

이처럼 평행선을 달리던 협상은 오후에 '경쟁력'을 묻는 데 의견 일치를 보면서 가닥이 잡히는 듯했으나 복병을 맞닥뜨렸다. 안 후보 측에서 박영선 더불어민주당 후보와 '양자 가상대결 조사'를 통해 어느 쪽이 우세한지를 비교해보자고 내민 것이다. 박 후보에 대한 각 후보 경쟁력을 확인하는 것이 단일화 취지에 부합한다는 명분이다.
반면 오 후보 측은 누가 서울시장으로서 경쟁력이 뛰어난지 묻는 방식을 원하고 있다. 2개 여론조사업체 결과가 다를 경우 누구를 승자로 정할지에 대한 전례가 없다는 이유다.
여기에 오 후보 측은 유선전화 조사 비율 15~20%를 주장하는 반면 안 후보 측이 유선전화 없이 100% 무선전화 조사를 하자고 맞서는 부분도 풀어야 할 숙제다. 통상 유선전화 조사는 보수 성향을 지닌 노년층 응답 비율이 높고, 무선 조사가 중도·진보 정당에 유리한 것으로 알려진 만큼 이 비율을 두고 양쪽 셈법이 다를 수밖에 없는 것이다.
실제로 이태규 사무총장도 이날 "여론조사 결과가 2∼3%포인트 차이로 결정 날지 모르는데, 핸디캡을 몇%씩 안을 수는 없다"고 했다.
양측이 이처럼 평행선을 달리자 18일 오전까지도 협상이 진전을 보이지 못하면 투표용지 인쇄 전날인 오는 28일까지가 실질적 단일화 데드라인이 될 수도 있다. 그러나 최근 안 후보와 김종인 국민의힘 비상대책위원장이 서로 '엑스맨' '상왕' 등 거친 발언을 주고받고 있어 단일화 논의가 그대로 어그러지는 것이 아니냐는 우려가 나온다.
오죽했으면 대구에 지역구를 둔 무소속 홍준표 의원(대구 수성을)이 SNS를 통해 "투표용지 인쇄 전까지 치킨게임을 하는 것은 두 사람 모두에게 이롭지 않다"고 지적했다. 그러면서 "두 분이 직접 담판해 단일화를 하라"며 "그것이 서울시민의 열망"이라고 했다.
한편, 이날 박영선 민주당 후보가 김진애 열린민주당 후보를 꺾고 범여권 단일 후보로 최종 선출됐다. 양측은 이틀간 양당 권리·의결당원 50%, 일반 유권자 50%를 반영한 여론조사를 거쳤다. 다만 구체적 여론조사 수치는 공개하지 않았다.

댓글 많은 뉴스
이준석, 전장연 성당 시위에 "사회적 약자 프레임 악용한 집단 이기주의"
"대법원장 탄핵 절차 돌입"…민주 초선들 "사법 쿠데타"
[전문] 한덕수, 대선 출마 "임기 3년으로 단축…개헌 완료 후 퇴임"
민주당 "李 유죄 판단 대법관 10명 탄핵하자"…국힘 "이성 잃었다"
5·18묘지 참배 가로막힌 한덕수 "저도 호남 사람…서로 사랑해야" 호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