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Z 백신 '혈전 생성' 사망 사례, 기저질환 악화로 결론 "혈전-AZ 연관성 없다"

입력 2021-03-17 15:22:28 수정 2021-03-17 16:00:17

예방접종 피해조사반장인 김중곤 서울의료원 소아청소년과장이 8일 오후 충북 청주시 질병관리본부에서 신종 코로나바이러스 감염증(코로나19) 예방접종 후 사망 사례와 백신 접종 간 연관성이 있는지를 검토한 회의 결과를 발표하고 있다. 연합뉴스
예방접종 피해조사반장인 김중곤 서울의료원 소아청소년과장이 8일 오후 충북 청주시 질병관리본부에서 신종 코로나바이러스 감염증(코로나19) 예방접종 후 사망 사례와 백신 접종 간 연관성이 있는지를 검토한 회의 결과를 발표하고 있다. 연합뉴스
예방접종 피해조사반장인 김중곤 서울의료원 소아청소년과장이 8일 오후 충북 청주시 질병관리본부에서 신종 코로나바이러스 감염증(코로나19) 예방접종 후 사망 사례와 백신 접종 간 연관성이 있는지를 검토한 회의 결과를 발표하고 있다. 연합뉴스
예방접종 피해조사반장인 김중곤 서울의료원 소아청소년과장이 8일 오후 충북 청주시 질병관리본부에서 신종 코로나바이러스 감염증(코로나19) 예방접종 후 사망 사례와 백신 접종 간 연관성이 있는지를 검토한 회의 결과를 발표하고 있다. 연합뉴스

독일과 프랑스 등 유럽 국가들이 혈전에 대한 예방적 차원에서 아스트라제네카 백신 접종을 중단한 가운데 국내 방역당국이 사망자의 혈전과 AZ백신 간의 연관성은 발견되지 않았다고 밝혔다.

17일 국내에서도 백신 접종 후 사망한 사람에게서 혈전이 발견된 사례가 처음으로 나타나자 김중곤 예방접종 피해조사반장은 백브리핑에서 "장기간 기저질환이 있는 분이고, 의무 기록상 다른 사망원인을 의심할 수 있는 소견이 있다. 예방접종보다는 다른 원인일 가능성이 높은 것으로 평가했다. 백신과의 인과 관계가 없다고 결론 내렸다"고 말했다.

사망한 60대 여성은 지난달 26일 백신 접종 후 이달 6일 사망했다. 사후에 혈전이 관찰됐다.

김 반장은 "사망 당시 진료했던 의료진의 사인 판단은 흡인성 폐렴이었다"면서 "호흡기 계통의 문제로 사망했다고 본 것"이라고 설명했다.

또 "(조사반이) 추가자료를 수집해 보니까 흡인성 폐렴 외에 급성 심장사례, 심근경색에 해당하는 소견도 갖고 있어서 두 사인만으로 사망할 수 있다고 판단했던 것"이라고 덧붙였다.

김 반장은 "코로나19 백신뿐 아니라 다른 백신, 인플루엔자(독감) 백신 같은 경우에도 접종 후 혈전이 발생한 것이 보고는 됐으나, 예방접종과 혈전 발생이 관련 없다는 최종 결과가 보고된 바 있다"고 부연했다.

그는 "물론 이번 환자는 부검이 진행 중이므로 국과수(국립과학수사연구원)와 경찰로부터 (결과가) 통보되고, 특이사항이 있다면 재평가할 계획"이라고 밝혔다.

최신 기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