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세청, 가상화폐 거래 차단 압류
당국 "내년부터 가상화폐 보유현황 주기적으로 보고받아"

비트코인 등 가상화폐를 재산 은닉 수단으로 활용했다가 적발된 체납자들이 가상화폐 압류에 처하자 총 300억원 대 세금을 내게 됐다.
국세청은 15일 재산을 가상자산으로 바꿔 두고서 국세를 체납한 2천416명을 찾아 모두 366억원을 현금으로 징수하거나 채권으로 확보했다고 발표했다. 체납자가 숨긴 가상자산을 강제 징수한 것은 국세청이 정부 부처 중 처음이다.
가상자산을 보유한 이의 실명 은행계좌는 가상화폐를 매입·매도할 때 현금이 잠시 머무는 곳에 그친다. 금융계좌를 조회해도 가상화폐 보유 현황을 알 수 없다.
이에 국세청은 국내 가상화폐 거래소들과 협력해 체납자의 가상화폐 보유 현황을 수집·분석하고 압류 및 강제 징수에 나섰다. 가상화폐 소유자가 거래소에서 가상화폐를 판 뒤 거래소에 '매각 대금을 달라'고 요구할 권리(출금 또는 반환청구채권)를 차단하는 식이었다.
이번 압류 조치에 따라 가상화폐를 현금화할 수 없자 체납자들은 압류를 풀고자 현금으로 체납액을 내거나 가상화폐를 처분해 밀린 세금을 냈다.
체납자 일부는 자신이 보유한 가상 자산 가격이 더 오를 것이라 판단해 이를 팔지 않는 대신, 다른 곳에서 자금을 조달해 세금을 내기도 했다.
국세청은 내년부터 가상자산을 이용한 소득·재산 은닉을 막을 수 있을 것으로 보고 있다. 아울러 이번 강제징수 대상 가운데 222명은 자산 은닉 혐의를 추가로 포착해 추적조사 중이다.
댓글 많은 뉴스
문재인 "정치탄압"…뇌물죄 수사검사 공수처에 고발
이준석, 전장연 성당 시위에 "사회적 약자 프레임 악용한 집단 이기주의"
[전문] 한덕수, 대선 출마 "임기 3년으로 단축…개헌 완료 후 퇴임"
대법, 이재명 '선거법 위반' 파기환송…"골프발언, 허위사실공표"
野, '피고인 대통령 당선 시 재판 중지' 법 개정 추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