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바이든 정부, 2월 중순 이후 북한 접촉 시도…아직 답변 못받아"

입력 2021-03-14 16:01:46

로이터통신, 바이든 정부 고위 관리 인용해 "뉴욕 등 여러 채널 통해 시도"
내주 미 국무·국방장관 한일 순방이 북미간 진전 계기 될지 주목

오는 17일 방한하는 토니 블링컨 미국 국무장관. 연합뉴스
오는 17일 방한하는 토니 블링컨 미국 국무장관. 연합뉴스

조 바이든 미국 행정부가 2월 중순 이후 여러 채널을 통해 북한과 막후 접촉을 시도했으나 아직 북한으로부터 답변을 받지는 못한 것으로 알려졌다. 로이터통신은 13일(현지시간) 익명의 미 행정부 고위 관리를 인용해 이같이 보도했다.

이 관리는 "2월 중순 이후 뉴욕(유엔 주재 북한대표부)을 포함한 여러 채널을 통해 북한 정부에 접촉하려는 시도가 있었지만 평양으로부터 어떠한 답변도 받지 못했다"고 밝혔다. 이와 관련해 유엔 주재 북한대표부는 아무런 언급을 내놓지 않았다고 로이터통신은 전했다.

지난 1월 출범한 바이든 행정부는 전임 도널드 트럼프 행정부의 대북 정책이 북한 핵 개발을 막지 못했다는 문제의식 속에 기존 정책을 다시 검토하고 있다. 이 관리는 "새 대북 정책 검토 과정에서 북한 정책을 다룬 도널드 트럼프 전 행정부를 비롯해 전 행정부 관리들에 조언을 구했다"며 "미국은 동맹국인 한국, 일본과도 (북핵 문제를) 협의했다"고 설명했다. 다만 그는 북한의 침묵이 바이든 행정부의 대북 정책 검토에 어떤 영향을 미칠지에 대해서는 언급을 피했다고 로이터는 부연했다.

오는 17일 방한하는 로이드 오스틴 미국 국방장관. 연합뉴스
오는 17일 방한하는 로이드 오스틴 미국 국방장관. 연합뉴스

이와 관련해 성 김 미국 국무부 동아태차관보 대행은 전날 언론 브리핑에서 바이든 행정부의 대북 정책 검토가 수주 내에 완료될 것으로 예상한다는 입장을 밝혔다. 김 차관보 대행은 토니 블링컨 미 국무장관과 로이드 오스틴 국방장관의 다음 주 초 한국·일본 순방을 앞두고 가진 전화 기자회견에서 이같이 말했다고 자유아시아방송(RFA)이 전했다.

김 차관보 대행은 "광범위한 새 대북정책이 검토되고 있지만 한국과 일본 모두가 공유하는 한반도 혹은 북한의 완전한 비핵화를 이루겠다는 '공약(commitment)'은 변하지 않았다"고 밝혔다. 그러면서 "이는 향후 대북정책의 핵심적인 특징" 이라고 강조했다.

새로 출범한 바이든 정부의 대북 물밑 접촉 시도는 정책 검토 중에 북한의 도발로 인한 긴장 고조 가능성을 차단하고 대화 테이블로 유도하려는 시도로 해석된다. 북한은 과거에도 미국에 새 정부가 들어설 때 도발을 감행해 온 전력이 있다. 버락 오바마 전 대통령이 2008년 당선된 뒤 이듬해 장거리미사일 발사와 핵실험을 했고, 트럼프 전 대통령의 임기 첫해인 2017년에도 핵실험과 대륙간탄도미사일(ICBM) 발사로 긴장을 고조시켰다.

이에 따라 토니 블링컨 국무장관, 로이드 오스틴 국방장관의 방문이 북미 관계 진전에 중요한 계기가 될 가능성이 있어 주목된다. 한국시간으로 17일 시작되는 순방은 바이든 행정부 들어 이뤄지는 첫 고위급 방한으로, 18일에는 외교·국방장관이 한자리에 앉는 2+2 회의가 열린다.

최신 기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