뉴욕증시 주요 지수가 미국 국채금리 상승에 혼조세를 보였다.
12일(미국시간) 뉴욕증권거래소(NYSE)에서 다우존스 30 산업평균지수는 전장보다 293.05포인트(0.9%) 상승한 32,778.64에 거래를 마쳤다.
스탠더드앤드푸어스(S&P) 500 지수는 전장보다 4.0포인트(0.1%) 오른 3,943.34에 거래를 마쳤지만, 기술주 중심의 나스닥 지수는 78.81포인트(0.59%) 하락한 13,319.86에 장을 마감했다.
다우지수와 S&P 500 지수는 종가 기준 사상 최고치를 경신했다.
미 국채 금리가 다시 오른 가운데 기술주는 소폭 하락세를 보인 가운데 경기 민감 종목은 강세 흐름을 이어갔다.
미 국채 10년물 금리는 이날 1.63%까지 오르며 지난해 2월 이후 고점을 경신했다.
조 바이든 미국 대통령이 전일 1조9천억 달러 부양 법안에 서명한 점 등이 인플레이션 우려를 다시 자극하는 것으로 풀이된다.
미국의 생산자물가는 시장 예상 수준으로 나타났지만 금리에는 영향을 미치지 못했다. 미 노동부는 2월 생산자물가지수(PPI)가 전월 대비 0.5% 상승했다고 발표했다. 월스트리트저널이 집계한 전문가 예상치 0.5% 상승에 부합했다.
애플 주가는 약 0.76% 내렸고, 테슬라 주가는 0.84%가량 하락했다. 알파벳, 페이스북은 각각 2.5%, 2%씩 내렸다. 아마존과 마이크로소프트도 각각 0.77%, 0.58% 하락했다.
경제 부양책의 본격화로 경기 민감 업종은 강세를 이어갔다. 백악관은 이번 주말부터 새로운 부양책에 따른 1천400달러 현금 지급이 시작될 예정이라고 밝혔다.
보잉 주가가 6.8% 이상 급등하며 다우지수를 끌어 올렸다. 737맥스 기종 대규모 수주 소식이 나왔다.
업종별로는 기술주가 0.71% 내렸고, 커뮤니케이션은 0.9% 하락했다. 반면 산업주는 1.34% 올랐고, 금융주도 1.09% 상승했다.
한편 전날 상장한 쿠팡은 전거래일 대비 1.58% 내린 48.47달러에 마감했다.
댓글 많은 뉴스
이재명 90% 득표율에 "완전히 이재명당 전락" 국힘 맹비난
권영세 "이재명 압도적 득표율, 독재국가 선거 떠올라"
이재명 "TK 2차전지·바이오 육성…신공항·울릉공항 조속 추진"
대법원, 이재명 '선거법 위반' 사건 전원합의체 회부…노태악 회피신청
국정원, 中 업체 매일신문 등 국내 언론사 도용 가짜 사이트 포착