최근 유럽 국가들이 잇따라 혈전 생성 등을 이유로 아스트라제네카(AZ) 백신 접종을 일시 중단한 가운데국내에서는 같은 부작용이 신고된 사례는 없는 것으로 나타났다.
손영래 중앙사고수습본부(중수본) 사회전략반장은 12일 정례 브리핑에서 관련 질의에 "우리나라에서 혈전 생성에 대한 부작용 신고는 현재까지 없는 것으로 확인됐다"고 밝혔다.
앞서 오스트리아 당국은 49세 여성이 아스트라제네카 백신 접종 뒤 '심각한 응고 장애(coagulation disorder)'로 숨지자 해당 제조 단위의 백신 접종을 중단했다.
오스트리아가 사용을 중단한 제조 단위는 'ABV5300'인 백신으로, 17개 유럽 국가에 공급됐다.
이어 덴마크에서도 같은 제조 단위의 아스트라제네카 백신을 맞은 한 60세 여성이 혈전 생성으로 사망해 접종을 중단했고, 에스토니아, 라트비아, 리투아니아, 룩셈부르크 등 4개국도 해당 제조 단위의 백신 접종을 중단한 상태다.
다만 혈전 생성으로 인한 사망이 백신 접종과 연관성이 있다는 사실을 아직 확인되지 않았으며, 해당 국가들은 예방 차원에서 해당 제조 단위의 접종을 중단한다고 밝혔다.
이탈리아는 아스트라제네카 백신 'ABV2856' 제조 단위의 접종을 일시 중단했다. 이탈리아에서도 마찬가지로 해당 제조 단위 백신 접종 후 혈전 생성 등으로 두건의 사망사례가 발생했다. 루마니아도 이탈리아와 같은 제조 단위의 아스트라제네카 백신 접종을 중단했다.
손 반장은 "(오스트리아와 이탈리아는) 특정 일련번호 백신에 대해 혈전이 생성되는 신고가 들어와 그 부분을 확인하기 위해 해당 일련 로트에 대한 백신 공급과 접종을 중단한 상태"라며 "아스트라제네카 백신 접종 자체의 중단은 아니다"고 설명했다.
이어 "그 외에 아스트라제네카 백신 (접종) 자체를 중단한 국가도 일부 있긴 있다"면서도 "백신 접종 자체를 중단한 나라도 있지만, 해당 로트를 중단시킨 곳도 있기 때문에 그 부분은 조금 구분해야 한다"고 덧붙였다.
댓글 많은 뉴스
문재인 "정치탄압"…뇌물죄 수사검사 공수처에 고발
[전문] 한덕수, 대선 출마 "임기 3년으로 단축…개헌 완료 후 퇴임"
이준석, 전장연 성당 시위에 "사회적 약자 프레임 악용한 집단 이기주의"
대법, 이재명 '선거법 위반' 파기환송…"골프발언, 허위사실공표"
野, '피고인 대통령 당선 시 재판 중지' 법 개정 추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