대구경북행정통합 이견 맞서…'경쟁력 강화 위해 통합은 필요" vs "대구로의 블랙홀 우려"

입력 2021-03-09 18:17:28 수정 2021-03-09 18:44:38

찬성 측, 타 광역단체와의 경쟁에서 경쟁력 강화 필요하다
반대 측, 도청 신도시 발전부터… '대구로 블랙홀 현상' 발생한다

9일 오후 경북도청 동락관에서 대구경북행정통합 경북 북부권 대토론회가 열렸다. 윤영민 기자
9일 오후 경북도청 동락관에서 대구경북행정통합 경북 북부권 대토론회가 열렸다. 윤영민 기자

9일 경북도청 동락관에서 열린 대구경북 행정통합 경북 북부권 대토론회에서 통합에 대한 찬반 의견을 놓고 치열한 논쟁이 벌어졌다.

그간 일부 북부권 지역에서 반대 여론이 높았던 만큼 이번 토론회에서도 찬반 의견이 첨예하게 대립한 것이다.

찬성 측은 경쟁력 강화를 위해 통합이 반드시 필요하다고 주장한 반면 반대 측은 대구로의 블랙홀 현상 등에 따른 지역 불균형 우려 목소리를 높였다.

특히 반대 목소리가 높은 안동지역 토론회 참석자들은 통합에 대한 문제점을 강하게 지적했다.

김호석 안동시의회 의장은 "신도청을 중심으로 북부권 발전을 이룰 수 있음에도 노력없이 통합만 주장하는 것은 맞지 않다. 대구를 중심으로 블랙홀 현상이 반드시 일어날 것"이라며 "절차와 정당성을 위해 지자체와 주민을 중심으로 다양한 목소리를 듣는 것이 해답"이라고 했다.

권기창 안동대 교수는 "통합을 했을 때 수도권 블랙홀이 방지되고 대구경북의 인구가 늘어나는 것인지 분명한 수치를 내놔야 한다"며 "수도권 집중을 막기 위해서는 중앙정부의 권한 등을 지방으로 옮겨야 하는데 중앙정부가 대구와 경북만을 위해 통합 관련 특별법을 만들어주지도 않을 것"이라고 주장했다.

찬성 측은 다른 광역시·도와의 경쟁 상황에서 경쟁력을 갖추는 것이 중요하다는 주장을 펼쳤다. 신동우 상주상공회의소 회장은 "기업의 사례를 봐도 합친 기업이 더 경쟁력을 갖고 더 많은 고용을 할 수 있다"며 "대구경북을 합쳐서 미래에 경쟁력이 있는 방향으로 집중 투자할 필요가 있다"고 했다.

지홍기 문경시지역발전협의회 의장은 "무한 경쟁시대에서 대구와 경북이 소모적인 각자도생의 가고 있기 때문에 대구경북의 협력 강화가 매우 절실하다"고 했다.

통합 전후로 풀어야 될 문제의 해결방안도 제시됐다.

고문현 숭실대 교수는 "통합을 하기로 결정된다면 특별법을 만들고 지방분권 규정을 마련하는 한편, 입법과 재정에 대한 권한을 갖는 것도 필요하다"고 했다.

최태림 전 대구경북통합신공항 이전추진위원회 공동위원장은 "범도민 추진위원회를 만들어 도민의 공감대 형성이 필요하다"고 조언했다.

최신 기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