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울시 인구 32년만에 '천만시대' 저물어…991만명

입력 2021-03-03 07:32:27

2020년 말 기준 서울시 자치구별 인구 현황
2020년 말 기준 서울시 자치구별 인구 현황

서울시가 인구감소로 32년 만에 인구 1천만 명 도시라는 타이틀을 잃게됐다.

서울시는 관내 내국인 주민등록인구(행정안전부 통계)와 외국인 등록인구(법무부 통계)를 더한 총인구가 지난해 말 기준 991만1천88명으로 집계됐다고 3일 밝혔다. 내국인이 966만8천465명, 외국인이 24만2천623명이다.

1988년 처음으로 1천만명을 넘긴 이후 '천만 도시' 서울로 대한민국 대표 도시의 명성을 이어오던 서울의 인구가 32년만에 1천만 미만으로 줄어든 것이다.

서울의 인구는 1990년 초반까지 급격히 증가하다가 1992년 정점을 찍은후 점차 감소세로 돌아섰다. 특히 이번에 1천만명이 깨어진 이유로 코로나19로 인한 외국인 인구 감소도 영향을 준 것으로 알려졌다.

1년 전보다는 9만9천895명(-1.00%)이 줄었는데, 내국인 인구가 0.62%(6만642명) 감소한 데 비해 외국인 인구는 13.93%(3만9천253명)나 감소했다. 특히 중국 국적(한국계 포함)이 3만2천 명이나 줄었다.

연령별 인구는 25∼29세가 85만8천648명으로 가장 많고, 45∼49세(81만9천052명), 50∼54세(80만7천718명)가 뒤를 이었다. 연령별 인구 증감을 보면 0∼4세 인구가 10.26% 감소한 반면, 85∼89세 인구는 11.42% 증가해 급격한 저출산·고령화 현상을 나타냈다.

내국인 인구를 10년 전과 비교해 보면 64세 이하 인구는 120만 명 줄었고, 65세 이상 인구는 56만 명 늘어 고령화 추세가 더 뚜렷하게 나타났다. 작년 말 기준 고령화율(총인구 중 65세 이상 인구비)은 15.8%로 전년보다 1.0%포인트 상승했다. 생산가능(15∼64세) 인구 100명이 부양해야 할 인구(14세 이하, 65세 이상)를 나타내는 총부양비는 35.2명으로 1년 사이 1.3명 늘었다.

내국인 세대수는 441만7천954세대로 전년보다 2.09% 증가했으나, 세대당 인구는 2.19명으로 0.06명 감소했다. 전체 세대에서 1∼2인 세대가 차지하는 비중은 63.8%로 전년(61.8%)보다 2.0%포인트 커졌다. 1인 세대 비율이 높은 곳은 관악구(58.3%), 종로구(51.1%), 중구(50.7%) 순이다.

자치구별 인구는 송파구(67만3천926명)가 가장 많고, 중구(13만4천635명)가 가장 적다. 전년보다 인구가 증가한 곳은 강동구(2만3천608명 증가)와 영등포구(6천381명)뿐이었고, 나머지 23개 구는 인구가 감소했다.

최신 기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