영풍제련소, 지하수 차집시설 추진…환경단체는 반대

입력 2021-02-23 16:34:27 수정 2021-02-23 21:47:21

환경단체 "하천점용허가 절대 내주지 마라"…봉화군 "유지 관리하면 문제 없어"

영풍 석포제련소 제1공장 외곽 지하수차집시설 1차 공사 구간. 석포제련소 제공
영풍 석포제련소 제1공장 외곽 지하수차집시설 1차 공사 구간. 석포제련소 제공

경북 봉화 영풍 석포제련소가 공장 내 오염된 지하수의 외부 유출을 근원적으로 차단하는 '지하수 차집시설' 공사에 들어가기로 하자, 환경단체가 반발하고 나섰다.

석포제련소가 추진하는 지하수 차집시설은 공장과 하천 사이에 지하 수십 m 깊이 암반층까지 땅을 판 뒤 차수벽과 차집시설을 설치해 오염 지하수를 원천 차단하는 시설이다. 기존의 공장 내 지하 차수막과 오염방지공이 막지 못한 부분까지 차단한다는 계획이다.

석포제련소는 올해부터 사업비 430억원을 투입해 제1공장 외곽 하천변 1.1km 구간과 제2공장 외곽 1km 구간에 순차적으로 이 시설을 설치할 계획이다.

이를 위해 석포제련소는 봉화군과 하천점용 허가에 대해 협의를 진행하고 있다.

영풍 석포제련소 제1공장 외곽 지하수차집시설 1차 공사 구간. 석포제련소 제공
영풍 석포제련소 제1공장 외곽 지하수차집시설 1차 공사 구간. 석포제련소 제공

이런 가운데 환경단체인 영풍 석포제련소 환경오염 및 주민 건강피해 봉화군 대책위원회(이하 대책위)는 공장 외부에 시설 설치를 반대하고 있다.

신기선 대책위 부위원장은 "침출수 방지시설 설치는 분명 반길만한 일이지만 하천부지에 설치해서는 안 된다. 토양환경법 상 공공수역에 설치하면 국가가 해당 시설을 책임지는 불상사가 생긴다. 공장 내부에 설치하는 것이 바람직하다"고 했다.

봉화군 관계자는 "하천점용 허가시 기간을 정해 허가받은 쪽이 유지관리를 하고 위반 시 원상 복구하게 돼 있다. 석포제련소의 신청은 별 문제가 없다"고 했다.

한편 석포제련소는 낙동강 수질오염 방지를 위해 2019년 사업비 69억원을 투입해 1·2공장 내부 바닥에 10m 깊이의 차수막(총연장 1.5km)과 오염방지공을 설치했고, 지난해엔 234억원을 들여 빗물 등 비점오염원의 지하수 유입 차단시설도 설치했다. 또 320억원을 들여 공장에서 사용한 물을 증발농축 등의 과정을 거쳐 재사용하는 무방류설비를 설치해 5월 본격 가동할 계획이다.

최신 기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