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책]뉴노멀 시대 우리 농업의 길을 묻다

입력 2021-03-20 06:30:00

"농업인에 대한 응원 멈추지 말아야"

뉴노멀 시대 우리 농업의 길을 묻다 표지
뉴노멀 시대 우리 농업의 길을 묻다 표지

뉴노멀 시대 우리 농업의 길을 묻다/ 고병기 지음/ 해남 펴냄

21세기는 예고된 대전환의 시대다. 코로나19는 그 시작일 뿐이다. 사라져 가는 것과 남는 것이 극명하게 갈린다. 과거의 방식이나 관성이 가장 좋았던 것으로 생각하지만 익숙한 것을 못하는 시대가 되니 더 좋은 방법을 찾아 나서고 있다.

코로나19와 디지털 대전환이 가져온 새로운 세상 속에서 우리 농업의 변화상을 추적하고 새로운 길을 제시한 책이 나왔다.
고병기 전 농협중앙회 상무가 농협맨으로 33년간 근무하면서 포스트 코로나 상황을 맞는 우리 농업의 대응 방안에 대해 종합적으로 정리해 놓은 책, '뉴노멀 시대, 우리 농업의 길을 묻다'를 출간했다.

지금은 지구촌이 코로나19로 몸살을 앓고 있다. 정치, 경제, 사회, 문화, 라이프스타일 등 모두가 흔들리고 있다. 비대면 경제가 일반화되고 있다. 거기에 디지털 대전환이 폭발적으로 일어나고 있다.

우리 농업 분야도 마찬가지다. 농가인구는 줄고 기후변화로 인한 빈번한 자연재해로 생산은 늘 불안정하다. 수입농산물은 봇물 터지듯 들어오고 있다. 식량자급률은 낙제점이다. 농가소득은 수년째 정체다. 지속가능한 농업의 미래는 불가능한 것처럼 보인다.

그러나 어둠의 터널을 지나도 희망을 놓지 않으면 여명은 반드시 오는 법. 스마트 농업이 속속 도입되고, 애그테크·푸드테크 등 농업을 둘러싼 첨단 전후방산업이 빠르게 성장하고 있다.

전동·자율주행 농기계도 현장에 투입되기 시작했다. 농업과 4차 산업혁명 기술이 융·복합되어 혁신의 바람이 불고 있다. 그런 가운데 생명에 대한 절실함은 더 커지고, 우리 것에 대한 소중함은 더 간절해졌다. 농업의 구체제가 물러나고 새로운 농업체제가 등장하고 있다. 뉴노멀시대가 도래한 것이다.

저자는 농업의 길은 결국 농업(Agriculture)에 있다면서 'Agriculture'의 알파벳 머리글자를 응용한 ▶과학 ▶창조 ▶회복탄력성 ▶혁신 ▶도전 ▶최고 품질 ▶생명 중시 ▶디지털적 사고 ▶소통과 연대 ▶메이저리거 정신 ▶존엄성 등 11가지를 뉴노멀 시대의 대응 방안으로 제시하고 있다.

저자는 궁극적으로 농업인의 존엄성에 초점을 맞춘다. "농업인들이 식량안보와 공익적 가치를 지키고 창출하고 있지만, 지금 우리 농업은 감내할 수 있는 임계점에 아슬아슬하게 걸려 있는 형국"이라며 "농업인들이 농촌 공동체 속에서 도전하고, 보람과 존엄성을 찾을 때까지 응원을 멈추지 말아야 한다"고 주장한다. 279쪽. 1만7천원

스마트농업을 위한 전자제어식 승용이앙기 제어기술
스마트농업을 위한 전자제어식 승용이앙기 제어기술

최신 기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