WHO "중국, 미가공 데이터 제공 거부"
코로나19 우한 발원지 진상규명 '한계'
춘절 맞아 우한시 '추모용 국화' 품절?
中 후베이성 노인인구 15만명 증발!
일본뇌염, 스페인독감, 중동호흡기증후군(메르스), 미국독감……, 우리가 흔히 사용하고 있는 용어이다. 2020년 갑자기 중국 우한폐렴이 전 세계적으로 확산하면서 전염병 명칭에 '지역 차별적 용어'를 쓰면 안 된다는 주장이 등장하기 시작했다. 물론 옳은 말씀이긴 하다.
조금만 생각해보면 의구심이 드는 것은 이렇게 '차별'을 싫어하고 '인도주의적 정신'이 투철한 분들이 우한폐렴(코로나19) 이전에 왜 그렇게 '일본뇌염' '미국독감' 홍콩독감' '스페인독감' '메르스' 등의 차별적이고 비인도적인 용어가 아무렇게도 않게 사용되는 것을 방관(?) 했느냐는 점이다.
집행부가 친중(親中)적이라는 비판을 받은 WHO(세계보건기구) 주도로 '우한폐렴'은 '코로나19'로 정식 명명되었다. 질병 명칭에서 '지역'이 없어지는 인류사의 긍정적 진보로 볼 수도 있겠다. 그러나 일부에서는 전 세계적으로 영향력을 키워온 중국이 WHO를 비롯한 친중(親中) 굴중(屈中) 세력을 활용해 진실을 은폐 왜곡하려는 '우한폐렴(코로나19)공정'의 출발점이 아닌가 하는 우려를 나타냈다.
한반도와 만주 일대의 고대사를 왜곡하는 동북공정(東北工程), 우리나라의 서해를 중국의 내해라고 우기는 '서해공정', 미국·영국 및 동남아 각국들과 갈등을 불러일으키고 있는 '남사군도 분쟁' 등 각종 중국공산당의 '공정(工程)'은 '공정(工程)=공작(工作)'이라는 생각을 갖게 만든다.
코로나19가 된 우한폐렴도 예외는 아닌 것 같다. 다국적 연구진으로 구성된 WHO 조사팀은 코로나19가 처음 확인된 중국 우한을 방문 조사한 뒤, 이달 9일 "미가공 데이터(raw data)를 보지 않고선 심층 분석을 할 수 없다. 이 때문에 때로는 (중국측과) 감정이 격해지곤 했다."고 말했다.
중국 당국이 WHO 조사팀에게 초기 발병 사례의 미가공 데이터를 제공하지 않고 거부했다고 폭로한 것이다. 중국 당국이 코로나19의 진상을 규명하기 보다는 뭔가를 숨기기에 급급하다는 의심을 사고 있는 대목이다.
그렇다고 WHO의 중국 우한 현지조사가 전혀 무의미했던 것은 아니다. 조사팀을 이끈 피터 벤 엠바렉 박사는 CNN과의 인터뷰에서 "2019년 12월 우한에서 13종의 변이가 발생한 것을 포함해 당시 코로나19가 이미 널리 퍼지고 있었다는 여러 징후가 있었다. 이는 새로운 발견"이라고 말했다.
2019년 12월 우한에서 발생한 서로 다른 신종코로나바이러스의 유전체 염기서열 데이터를 최초로 확보했다고도 밝혔다. 이것은 중국 우한에서 2019년 12월 이전에 이미 오래전부터 코로나19가 널리 퍼졌다는 것을 의미한다는 분석이다.
현재 수준의 조사만으로 코로나19가 '중국 우한에서 시작되었는지, 아닌지?'를 판단할 수 없다는 것이 WHO 측의 설명이다. 분명한 것은 조사에 응하는 중국 측의 태도와 그동안의 상황 설명이 석연치 않다는 점이다.

중국은 그동안 우한에서 코로나19로 사망한 사람이 모두 3천869명이라고 공식 발표했다. 그런데 춘절(우리나라의 설)이었던 지난 12일 중국 우한에서는 숨진 가족을 헌화 추모하려는 사람들이 몰리면서 '국화 품귀 현상'이 발생했다. 설을 맞아 가족을 추모하기 위해 국화를 헌화하는 것은 중국인의 오랜 관습이다.
인구 900만인 우한에서 겨우(?) 3천여 명이 숨졌다고 국화가 동났다는 것은 상식적으로 납득하기 어렵다. 때문에 자유아시아방송은 "우한에서 팔린 유골함 숫자로 추산하면 실제 사망자는 공식 발표의 10배 이상이 될 수 있다."고 전했다.
또 다른 충격적인 보도도 있다. 우한이 위치한 중국 후베이성의 연금 수령자 명부를 조사한 결과, 무려 노인인구 15만명이 사라졌다는 것이다. 연금 수령자 명부에서 없어졌다는 것은 '돌아가셨다.'는 것과 같은 의미로 해석할 수 있다. 물론 코로나19가 아니라 여러 다른 원인으로 어르신들이 유명을 달리한 경우도 있을 것이다. 하지만 15만명이 한꺼번에 돌아가시는 경우는 코로나19의 유행에 혐의(?)를 두지 않을 수 없다.
어쨌든 여러 정황을 종합해 볼 때, 중국 당국의 통계와 주장을 액면 그대로 받아들이기는 힘들다. 중국 공산당 간부와 경제 전문가 중에서 중국정부의 경제통계를 믿는 사람은 없다고 한다. 다른 부분도 마찬가지로 이해하는 것이 합리적이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한국의 언론들과 정부는 아무런 검증 없이 중국당국의 각종 통계를 그대로 소개하면서 자유민주주의 선진국의 통계와 마찬가지의 신뢰를 부여하고 있다.
순진한 것인지 어리석은 것인지 알다가도 모를 일이다. 정말 이러다가는 '역사도 빼앗기도' '바다도 빼앗기고' '내 땅마저 빼앗기겠다.'는 생각이 든다. '내 땅마저 빼앗기겠다.'는 말이 무슨 뜻이냐고? 조선족을 포함한 중국인의 대한민국 내 부동산 구입이 미국을 포함한 전 세계 외국인들을 다 합한 것보다 많다는 소식이 전해졌다.
대한민국 국민은 대출규제다 뭐다 하면서 손발이 묶여 있는 반면에 중국인들은 자유롭게 금융기관 대출 빵빵하게 당겨서 빌딩·아파트 구입한 뒤, 한국인들에게 월세·전세 놓으며 '집주인' 노릇을 톡톡히 하고 있다는 기막힌 뉴스이다. 자국민을 외국인에 비해 더 차별하는 유일한 나라가 아마 대한민국이 아닐까 싶다.
"이게 나라입니까?"라는 질문과 한숨이 저절로 나오는 월요일 아침이다.
댓글 많은 뉴스
이재명 90% 득표율에 "완전히 이재명당 전락" 국힘 맹비난
권영세 "이재명 압도적 득표율, 독재국가 선거 떠올라"
이재명 "TK 2차전지·바이오 육성…신공항·울릉공항 조속 추진"
대법원, 이재명 '선거법 위반' 사건 전원합의체 회부…노태악 회피신청
국정원, 中 업체 매일신문 등 국내 언론사 도용 가짜 사이트 포착