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독도는 대한민국 땅’ 일본 옛 고지도 200여점 학술 정리

입력 2021-02-22 06:30:00

독도재단 국내 각 기관·대학교 소유 고문헌 현장조사 나서
일본 정부에서 제작한 관용 지도 등 모아 국내외 반포 계획

일본 육·해군 통합 지도 제작부서인
일본 육·해군 통합 지도 제작부서인 '제국육해측량부'가 1902년에 제작한 '일로청한명세신도'. 국경선을 나누는 과정에서 독도를 일본에서 부르던 이름인 '송도'가 한국령에 표기된 점을 확인할 수 있다. 독도재단 제공

국내에 독도가 대한민국 영토로 그려진 일본 제작 고지도가 200점이 넘는 것으로 확인됐다. 모두 민간에서 만든 일반 지도가 아니라 일본 정부가 직접 편찬한 관찬지도이다.

(재)독도재단은 지난 한해 국내 각 기관 및 대학 도서관 등에 보관 중인 고문헌 중 독도와 관련된 자료를 수집하는 현황조사를 실시했다.

각 기관들이 독도와 관련해 어떤 고지도를 소장하고 있는지 확인하고, 이를 데이터베이스로 구축하기 위해서다.

동북아역사재단, 국토지리정보원 지도박물관, 국회도서관, 국립해양박물관, 독도박물관, 서울대학교 규장각 한국학연구원, 영남대학교 박물관, 국립중앙도서관 등에서 소장하고 있는 고지도 약 1천여 점이 조사됐다.

독도재단은 이번 조사를 통해 독도가 대한민국 영토로 뚜렷히 그려진 일본 제작 고지도 200여점을 확인했다.

조선전도(1894년·육군참모국), 일로청한명세신도(1903년·제국육해측량부), 심상소학국사회도-하권(1929년·문부성), 지도구역일람도(1941년·육지측량부) 등이 대표적이다.

시마네현은 1905년 고시(시마네현 고시 40호)를 통해 독도가 자국의 영토로 편입됐다고 주장하지만, 이후 제작된 주고쿠지방(1908년·문부성), 일본교통분현지도(1925년·오사카매일신문), 시마네현지도(1938년·와라지야 출판사), 시마네현지도(1951년·일본지도주식회사) 등의 지도를 보면 여전히 독도가 일본 국경선 내에 없다.

독도재단은 이번 조사 자료를 바탕으로 독도 위치 및 형태, 섬의 명칭, 제작연도별, 제작국가별 등 다양한 분석을 실시해 연구결과물을 국내·외에 발표할 예정이다.

신순식 독도재단 사무총장은 "독도 연구에 있어서 당대 사람들의 영토 및 지역 인식이 반영된 고지도는 영유권 문제에 있어 중요한 증거 자료가 될 수 있을 것"이라며 "이러한 지도를 통해 독도가 역사·지리·국제법적으로 대한민국의 영토라는 사실을 증명해 나가겠다"고 말했다.

최신 기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