유엔총장 "10개국 코로나 백신 75% 독점 불공정"

입력 2021-02-18 16:30:43 수정 2021-02-18 20:21:57

"국제사회 도덕 시험 직면" 백신 국수주의 비판
G20 주도 보급계획 촉구…인도 "평화유지군에게 무상 지원" 약속

안토니우 구테흐스 유엔 사무총장이 17일(현지시간) 유엔 안전보장이사회 장관급 화상회의에서 코로나19 백신의 공정한 분배를 촉구하고 있다. 연합뉴스
안토니우 구테흐스 유엔 사무총장이 17일(현지시간) 유엔 안전보장이사회 장관급 화상회의에서 코로나19 백신의 공정한 분배를 촉구하고 있다. 연합뉴스

선진국들이 백신 물량을 입도선매하면서 이른바 '백신 불평등' 문제가 세계적 이슈로 떠오른 가운데 안토니우 구테흐스 유엔 사무총장이 백신의 공정한 분배를 거듭 촉구했다.

AP통신에 따르면 구테흐스 총장은 17일(현지시간) 유엔 안전보장이사회 장관급 화상회의에서 "10개국이 코로나19 백신 75%를 접종했다. 이는 매우 불균등하고 불공정하다"고 비판했다. 또 "백신을 1회분도 얻지 못한 국가가 130곳에 이른다"며 "백신 평등은 이 중대한 시점에서 국제사회가 치러야 할 최대의 도덕적 시험"이라고 강조했다.

그는 공평한 백신 보급을 보장하기 위해 과학자, 백신 제조업체, 재정지원자들을 결집하는 '글로벌 백신 계획'을 제안했다. 그러면서 계획을 세우고 자금 조달과 이행을 조율할 긴급 태스크포스를 구성해달라고 주요 20개국(G20)에 촉구했다. 구테흐스 총장은 앞서 이달 6일에는 자신의 트위터를 통해 "공정한 백신 접근은 중대한 메커니즘"이라며 "우리는 '함께'라는 한 가지 방법을 통해서만 바이러스를 앞지를 수 있다"고 일갈했다.

유엔 산하 기구인 세계보건기구(WHO)가 추진하는 국제 백신 공동구매 프로젝트인 '코백스 퍼실리티'(COVAX facility)는 빈곤국도 함께 접종을 시작한다는 초기 목표에 일찌감치 실패했다. WHO는 코백스를 운용하는 데 올해 50억 달러(약 5조5천억 원)가 필요하다고 밝혔다.

미국과 중국, 인도 등 백신 생산국들은 적극적인 협조를 약속했다. 앤서니 블링컨 미국 국무부 장관은 "조 바이든 행정부는 백신 제조와 배분을 확대하고 소외된 이들을 비롯해 세계인이 더 쉽게 백신에 접근할 수 있도록 전 세계에 있는 파트너와 공조할 것"이라고 말했다.

왕이(王毅) 중국 외교부장도 "개발도상국들이 백신에 부담 없이 접근할 수 있도록 해야 한다"며 "중국이 백신 1천만 회분을 코백스에 1차로 전달할 것"이라고 밝혔다. S. 자이샨카르 인도 외교부 장관은 "어려운 환경에서 활동하는 평화유지군을 위해 20만 회분의 코로나19 백신을 선물로 제공하겠다"고 말했다고 인도 일간 더힌두가 보도했다.

한편 이날 유럽연합(EU) 행정부 격인 집행위원회는 모더나가 개발한 코로나19 백신 3억회 투여분 추가 구매를 위한 계약을 승인했다고 밝혔다. 이로써 EU 집행위는 지금까지 인구 4억5천만 명의 27개 회원국을 대신해 글로벌 제약사들과 모두 26억회분의 백신을 확보했다.

최신 기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