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푸드스토리텔러 노유진의 음식 이야기] 내가먹은 음식이 바로 내몸이된다.

입력 2021-02-15 15:12:00

입춘도 지나고 설도 지났으니 곧 우리 곁으로 따뜻한 봄날이 찾아올 것이다. 날이 춥기도 했지만 코로나 19로 인한 사회적 거리 두기로 사람끼리의 정이 그리웠다. 물리적인 거리의 제한은 자칫 마음의 벽까지 만들어 세상으로부터 분리된 듯 우울한 날의 연속이었다.

그런 마음을 훌훌 떨쳐버리고 바닥까지 떨어진 자존감을 회복시키기 위해서라도 이젠 기지재를 켜야 할 때다. 건강한 신체에 건강한 정신이 깃든다는 말처럼 웅크렸던 몸을 움직이며 우울감을 떨쳐버릴 수 있도록 오늘 음식 이야기는 건강한 신체를 만들 수 있는 식생활 이야기를 하겠다.

음식으로 못 고치는 병은 약으로도 고칠 수 없다는 말이 있다. 이는 우리가 매일 먹고 있는 음식과 건강과의 관계를 가장 잘 나타내는 말이기도 하다. 건강과 장수를 추구하는 사람들에게 식생활은 끊임없는 관심거리다. 그런데도 우리의 식단은 육류의 비중이 훨씬 더 커졌고 다양한 종류의 가공식품이 보급되고 소비되고 있다.

이에 따라 현대인들의 주요질환으로서 비만, 암, 심순환기계질환, 뇌혈관계 질환의 발병률 또한 증가하고 있다. 이는 100세 시대를 살아갈 우리에게 삶의 질을 떨어뜨릴 수 있는 위협 요소가 되고 있다. 따라서 건강하게 장수하는 삶을 누리고 싶다면 지금부터라도 위협요소들을 제거하기 위한 라이프스타일을 계획하고 실행하는 것이 필요하다. 식생활을 자신의 라이프스타일의 일부라 생각하며 식습관을 만들고 자기 삶의 일부로 삼아야 한다.

내 몸에 들어오는 음식이 곧 내 삶이고 삶의 방식이 달라지기 위해서는 먹는 음식의 종류가 달라져야 한다는 것이다. 시시각각으로 달라지고 있는 식생활의 정보 속에서 건강한 신체를 만들기 위해서는 무엇을 어떻게 먹어야 하는지 배우고 익혀서 실천해야 한다. 그것이 자신의 몸에 대한 책임감 있는 삶의 태도일 것이다.

지금까지 단순히 먹고 마시는 즐거움으로서 식생활을 즐겼던 사람이 어떻게 하루아침에 식생활에 대한 태도를 바꿀 수 있을까 하는 고민에 사로잡힐 수도 있다. 그래서 말씀드리고자 하는 핵심포인트는 절제 있고 안전한 식생활의 실천이다. 영양소의 과잉공급으로 인해 발생하는 여러 가지 건강 이상증과 무분별한 식품의 섭취로 인한 질환은 스스로 관리함으로써 억제할 힘이 우리에겐 있다.

최근 가장 흔하게 찾아오는 질환이 심뇌혈관질환이다. 이러한 질환은 평소에 운동과 함께 특별히 심장이 튼튼해지고 혈관이 건강해지는 식생활을 유지한다면 충분히 발병률을 낮출 수 있다. 그러므로 오늘부터 자기 삶의 방식과 식생활을 심뇌혈관의 건강을 튼튼하게 유지하는 생활로 정의하고 심뇌혈관이 튼튼해지는 식단으로 먹는 음식의 종류를 바꾸는 것으로 실천하는 것이다.

그러기 위해서는 심뇌혈관에 유용한 식단과 음식 재료들을 알아보고 그 기능에 관해 공부함으로써 자기 삶의 생활 방식을 스스로 변화시킬 수 있는 자기 주도적인 삶의 주인이 될 수 있다. 바야흐로 만물이 소생하는 봄날 자신만의 주체적인 식생활을 만들고 실천해 몸도 마음도 건강한 자신을 되찾을 수 있길 바란다.

끝으로 심뇌혈관이 튼튼해지는 데 도움이 될만한 지중해식 봄 소풍 도시락을 소개해드리겠다.

지중해식 식단은 지중해 연안 지역의 식단을 일컫는 것으로 올리브유와 견과류 등 식물성 지방을 주로 섭취하며 채소와 과일, 저지방 유제품류, 생선 등으로 구성하는 식단이다. 혈관을 건강하게 만드는 지방질의 섭취로 우리 인체에 원활한 혈액의 순환과 공급에 그 초점이 맞춰져 있음으로 다양한 제철 채소류를 이용해 신체가 필요로하는 영양소를 적절히 공급한다는 생각으로 알맞은 양을 조리해서 먹으면 된다.

< 봄나들이용 무지개 도시락 >

재 료 : 빨간색, 노란색 파프리카, 당근, 브로콜리, 가지, 우엉, 마늘, 올리브오일, 허브 소금

만드는 방법 : 엑스트라버진 올리브 오일을 팬에 붓고 약간 달군다.

편으로 썬 마늘을 넣고 볶은 후 편으로 썬 우엉을 넣고 익을 때까지 볶는다.

가지와 당근을 넣고 볶다가 마지막에 브로콜리를 넣고 허브 소금으로 마무리한다.

푸드스토리텔러 노유진

최신 기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