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집합제한업종 대구행복페이 카드수수료 환급 검토"

입력 2021-01-29 17:55:00 수정 2021-01-29 23:16:35

대구시 7차 비상경제대책회의서 안건으로 제시…추가 논의 후 2월 중 결정
중소기업 대출이자 지원 시 자산총액 및 매출 제한 폐지 가능성도

대구시청 청사 전경. 대구시 제공
대구시청 청사 전경. 대구시 제공

코로나19 피해를 입은 중소기업의 대출이자 매출·자산 총액 제한 폐지, 집합제한 업종에 대한 대구행복페이 카드수수료 환급 방안 등이 추진된다. 이는 29일 열린 대구시 '제7차 비상경제대책회의'에서 나온 안건으로 추가 논의를 거쳐 내달 중 확정될 예정이다.

코로나 대응 대구시 경제정책 컨트롤타워인 이번 비상경제대책회의는 이재하 대구상공회의소 회장의 주재 속에 비대면 영상회의로 이뤄졌다. 대구경북연구원은 지역경제전망을 내놓고 대구상공회의소는 지역기업동향 및 애로사항을 취합해 공유했다. 대구시는 현재 준비 중인 민생경제 지원방안을 제시했다.

대구시는 이날 ▷경영안정자금 기업지원사각지대 해소 ▷소상공인 임차료 특별자금 신설 ▷대구행복페이 카드수수료 부담 완화 ▷창업실패자 재도약자금 업종제한 철폐 등 크게 5가지 민생경제 지원방안을 내놨다.

우선 경영안정자금 공급과정에서 사각지대를 없애자는 논의가 이뤄졌다. 대출이자 지원시 지난해에는 연매출 400억원 미만이나 자산총액 1천억원 이하 중소기업이 대상이었으나, 올해부터 연매출이나 자산총액 제한을 없애는 것을 검토하기로 했다.

올해 1조원으로 확대 발행하는 대구행복페이는 집합금지 및 집합제한 업종의 카드수수료 환급 여부를 고민하기로 했다.

온누리상품권은 골목형 상점가 30곳을 추가 발굴해 사용처를 확대하고 판매목표도 지난해(2천200억원)보다 10% 가까이 늘린 2천400억원으로 잡을 방침이다. 소상공인 임차료 특별자금을 500억원 규모로 신설하는 방안도 검토한다.

30억원 규모의 창업실패자 재도약 자금은 지금껏 제조업, 신성장동력, 지식서비스 등 분야로 제한했으나, 향후 전 업종으로 확대를 추진하기로 했다.

대구시는 이날 나온 대책에 대한 논의를 내달까지 이어가며 보완, 확정한 내용을 2월 중 발표할 예정이다.

홍의락 대구시 경제부시장은 "경제적으로 더욱 어려워진 시민들의 절박한 심정을 담아, 올 한해는 더욱 비상한 각오로 지역 경제회복을 위한 대책 마련에 모든 지혜와 역량을 모아 가겠다"고 했다.

최신 기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