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울 '공공재개발' 지역 8곳 어디?…총4천700가구 공급

입력 2021-01-15 14:51:21

정부가 지난 5월 내놓은 '수도권 주택공급방안'에 따라 '공공재개발사업'의 첫 시범사업 후보지 8곳이 선정됐다.

서울시와 국토교통부는 서울 8곳을 공공재개발 후보지로 선정하고 올해 말 정비구역을 지정한다고 15일 밝혔다.

시에 따르면 공공재개발 최종 후보지는 ▶신문로2-12 재개발구역 ▶양평13 재개발사업 ▶양평14 재개발구역 ▶봉천13 재개발사업 ▶신설1 재개발사업 ▶용두 1-6 재개발사업 ▶강북5 재개발사업 ▶흑석2 개개발구역 등이다.

'공공재개발'은 LH·SH 같은 공공시행자가 사업성 부족, 주민 간 갈등 등으로 장기 정체된 재개발사업에 참여해 주거환경을 개선하고 도심 내 주택공급을 촉진하는 사업이다. ▶용적률 상향 등 도시규제 완화 ▶분양가상한제 적용 제외 등 사업성 보장 ▶사업비 융자 ▶인허가 절차 간소화, 4대 공적지원을 받게 된다.

서울시는 지난 9월 21일 공모에서 참가한 70곳 중 도시재생지역 10곳을 제외한 60곳 가운데 이미 정비계획안이 마련돼 있어 검토‧심사가 빨리 이루어질 수 있는 기존 정비구역 12곳을 대상으로 선정 심사했다.

서울시 관계자는 "이번에 선정이 보류된 4곳도 필요성은 인정되나, 충분한 주민의견 수렴, 일몰기한 등 구역별 현안사항을 추가 검토 후 차기 선정위원회에서 재논의키로 결정했다"고 밝혔다.

이번에 선정된 구역은 모두 역세권 주변에 위치한 기존 정비구역으로, 사업성 부족, 주민 간 갈등 등으로 정비구역 지정 이후 평균 10년 이상 사업이 정체되고 있는 곳으로, 공공재개발을 통해 사업추진을 저해하는 장애요인을 해소하면 역세권에 실수요자가 원하는 양질의 주택을 공급할 수 있는 잠재력이 큰 곳들이다.

이들 후보지에서 공급 가능한 물량은 총 약 4천700호로 추산된다.

서울시는 최근 공공재개발구역이 선정되는 투기자금 유입을 방지하기 위한 대책도 마련했다.

우선 신규구역 중 공공재개발 선정구역에는 투기자금 유입 방지를 위해 분양받을 권리 산정기준일을 공모공고일인 2020년 9월 21일로 고시하는 등 주택시장 안정을 도모할 계획이다. 또 선정된 기존 정비구역 등에 대해 투기적인 거래가 성행하거나 지가가 급격히 상승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토지거래허가구역 지정'을 추진할 방침이다.

이번에 후보지로 선정된 8곳은 주민동의를 거쳐 LH‧SH가 공공시행자로 지정된다. 서울시와 자치구가 공공재개발 특례가 적용된 정비계획을 수립해 후보지를 '공공재개발 정비구역'으로 최종 확정한다. 이르면 올해 말부터 구역 지정을 마치고 사업을 본격화할 것으로 기대된다.

LH‧SH는 후보지 선정 검토시 수립한 개략 정비계획을 토대로 후보지 주민들을 대상으로 한 설명회를 개최해 주민의견을 수렴하는 한편, 연내 공공시행자 지정 동의도 얻을 예정이다.

서울시 김성보 주택건축본부장은 "후보지들이 공공재개발을 통해 양질의 주거지로 탈바꿈해 오랫동안 낙후된 도심의 주거지를 되살릴 수 있기를 기대한다"며 "공공재개발 추진에 차질이 없도록 행정절차를 신속히 처리하는 한편, 필요한 제도개선사항도 지속 발굴해나가겠다"고 말했다.

국토교통부 김흥진 주택토지실장은 "이번에 선정된 공공재개발 후보지들이 실수요자의 내 집 마련에 기여하길 기대한다"며 "현재 국회 계류 중인 도시정비법 개정안이 신속히 처리될 수 있도록 국회와 긴밀히 협력하는 한편, 사업비‧이주비 지원 방안 등도 빠짐없이 챙기겠다" 고 했다.

최신 기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