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자리에 앉으며 시작)
남영 : 날씨가 많이 추워졌어요, 그렇죠?
화섭 : 맞습니다. 제가 개인적으로 추운 날씨 싫어하거든요. 어김없이 겨울이 왔어요.
남영 : 겨울 싫어하세요?
화섭 : 제가 예전부터 '수능 날 땅굴 파고 들어가서 겨울잠 자다가 식목일에 깨면 딱 좋다'고 하고 다녔었거든요. 올해는 수능이 또 12월 3일이잖아요? 그러니까 방송 나가는 날 기준으로 이틀 뒤가 되겠네요.
남영 : 수능 이야기 나온 김에 수험생들에게 한 말씀해 주신다면요?
화섭 : 하필 올해 코로나 19 때문에 더 힘든 수험생활을 보내셨을 텐데요, 힘들었던 만큼 그 결과가 달콤하길 제가 응원하겠습니다. 다들 파이팅입니다~!
남영 : 그럼 오늘 주제로 넘어갈까요?
화섭 : 네, 오늘 제가 들고 온 주제는 SBS 드라마 '펜트하우스'에 관한 이야기입니다. '막장드라마의 대가'죠. 김순옥 작가가 집필한 드라마로 화제를 모으고 있는데요. 지금 극의 중반 정도 왔는데, 역시 신나게 달리더군요. 보다가 숨이 차는 드라마가 정말 오랜만입니다.
남영 : 그 정도인가요?
화섭 : 아니, 김순옥 작가는 꼭 1회 때 사람 하나 잡고 시작하는지 모르겠어요. 전작 '황후의 품격' 때도 궁궐 안에 시체가 나오거든요? 또 '언니는 살아있다'도 교통사고로 한 명 보내고 시작합니다. '내 딸 금사월' 같은 경우도 한 명 보내고 시작하는데 '펜트하우스'에서도 1회 때 드라마의 키를 가진 인물이 추락사하는 거로 시작합니다. 그러고 나서 여지없이 악녀가 패악을 부리고 순진한 주인공이 당하고 누군가도 도와주고 하는 식으로 김순옥 표 드라마가 전형적으로 진행되죠. 우직하게 달려 나가는데 말을 하고 보니 '우직함'이라는 단어에 미안할 정도네요.
남영 : 그런데 역시 시청률은 잘 나오겠죠?
화섭 : 요즘 드라마 누가 보나 싶을 정도로 지상파 드라마, 그것도 평일 드라마 시청률이 그리 높지 않은 편이었어요. 근데, '펜트하우스'는 지난 8회 시청률이 15%를 찍었습니다. 이 정도면 평일 드라마 전쟁터에서 굉장히 잘 치고 나가는거죠.
남영 : 기자님이 보시기에 이 드라마의 매력은 뭐라고 생각하세요?
화섭 : 일단 화끈한 막장성. 이 드라마 속 인물들은 모두 화가 나 있습니다. 희한하게. 이게 김순옥 드라마의 특징이기도 한데 목소리 낮추는 배역보다 목소리 올리는 배역이 더 많아요. 단적으로 '강마리' 역을 맡은 신은경 씨가 1, 2회 때 보여준 연기를 보면 정말 진상, 진상, 그런 진상이 없어요. 요새 머리채 잡는 역할은 신은경 씨가 제일 잘하는 것 같아요. 그리고 유진이역을 맡은 '오윤희'가 딸 '배로나'의 학폭위에서 교장 선생에게 날라차기 하는 씬, '천서진'과 '주단태'의 불륜 행각 등 이런 것들 보면 자극의 끝을 달리고 있는데, 이런 부분을 보면 '막장드라마의 대가' 김순옥 작가라는 수식을 당연히 붙이게 되는 거죠.
그리고 이 드라마가 자세히 다루고 있는 게 빈부격차에 따른 부동산과 교육의 문제도 함께 다루고 있습니다. 이 방식이 JTBC에서 했던 '스카이캐슬'보다 더 자극적이고 더 전형적이기도 합니다. 적어도 '스카이캐슬'은 '교육'이라는 포커스에 좀 더 집중됐고, 또 경쟁 구도가 '경쟁 교육에 뛰어든 가족 VS 이를 배격하는 가족' 구도로 잡혔었거든요? 그런데 이 드라마는 모든 인물이 아귀다툼을 합니다. 애도 싸우고 어른도 싸워요. '헤라팰리스'라는 아파트의 집값과 부동산 재개발을 통해서 부를 축적하려는 부자와 빈자의 싸움이 하나 있고, '청아예고'라는 사립 예술 고등학교에서 부자 아이와 가난한 아이가 부딪히는 싸움이 또 하나 있습니다. 멀리서 보면 고고한 것 같지만 그 속에서는 동물의 왕국 저리 가라 할 정도의 약육강식, 피 튀기는 싸움이 진행되고 있는 거죠. 이런 부분이 청양고추 저리 가라 할 정도로 자극적이다 보니까 시청자들의 눈길을 사로잡는 건 당연하다고 볼 수 있습니다.
남영 : 듣기만 해도 너무 내용이 세서 시청자들이 견딜 수 있는지 모르겠어요.
화섭 : 그걸 대한민국 시청자 중 15%가 견디면서 보고 있는 거죠. 만드는 제작진이 대단한 건지, 보는 시청자가 대단한 건지 전 모르겠습니다.
남영 : 이런 자극적인 드라마에도 배울 점이 있긴 할까요?
화섭 : 굳이 한 번 찾아볼까요? 제가 느낀 건 '저승의 지옥은 누가 만들었는지 모르겠다, 그런데 이승의 지옥은 결국 사람들이 만든다'는 거였어요. 말이 이상한데 '펜트하우스' 제목 위를 보면 'War In Life'라는 영어 문구가 부제처럼 써 있습니다. 사람의 삶이 어떻게 보면 전쟁과도 같긴 하죠. 근데 그 전쟁에서는 누구도 승자가 되지 못한다는 거죠. 승자가 되는 사람은 어찌 보면 전쟁을 일으키는 욕심의 구렁텅이 끄트머리에서 한 발짝 떨어져 있는 사람이 승자가 되는 거죠. 대부분은 욕심의 구렁텅이를 만만하게 보고 물러서지 않다가 결국 자기가 선 바닥이 무너지고 나서야 빠져나올 수 없음을 아는 상황이 오니까요.
남영 : 자본주의 시대에 그런 태도가 가능하긴 할까요?
화섭 : 쉽지 않습니다. 그 한 발짝을 물러서는 건 엄청난 용기를 필요로 하거든요. 마치 내 등 뒤에 낭떠러지가 있는 느낌이라고 하면 비유가 되려나요. '펜트하우스'의 모든 인물이 결국 그 한 발짝을 못 물러서서 아귀다툼을 하잖아요. 그 드라마에서 '심수련'을 제외하고는 그 누구도 탐욕에 초연하지 않아요. 하지만 아이러니하게도 심수련은 펜트하우스에서 금수저를 물고 나온 사람 중 한 명 입니다. 맹자의 말대로 '무항산 무항심', 내 생계를 유지할 일정한 바탕이 없으면 바른 마음을 잡기가 힘들다 이런 말인데요. 그런데 천서진을 보면 항산이 있는 사람인데 항심이 없잖아요? 그만큼 쉽지 않은 거죠.
남영 : 그런데 드라마인데 너무 몰입하신 것 같아요.
화섭 : 그래 보이죠? 요새 워낙 SNS나 뉴스 기사 같은데 보면 천서진이나 주단태, 그리고 그 둘의 자식과 같은 사람들이 너무 많이 보여요. 그래서 자기가 가진 대단치 않은 무엇으로 누군가를 짓누르려고 하는 모습을 너무 많이 봐서 그런가 하는 생각이 듭니다.
댓글 많은 뉴스
이재명 90% 득표율에 "완전히 이재명당 전락" 국힘 맹비난
권영세 "이재명 압도적 득표율, 독재국가 선거 떠올라"
[우리 아기가 태어났어요]신세계병원 덕담
"하루 32톤 사용"…윤 전 대통령 관저 수돗물 논란, 진실은?
'이재명 선거법' 전원합의체, 이례적 속도에…민주 "걱정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