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북형 귀농·귀촌 모델 만들자…경북도의원들 머리 맞대

입력 2020-11-24 15:05:09

지난해 전국 귀농 1위 경북…2천136가구
귀촌인도 경기도에 이어 2위…3만9천229가구

23일 경북형 귀농·귀촌 모델상을 찾기 위해 경북도의회 귀농·귀촌 정책연구회가 연구용역 중간보고회를 가졌다. 경북도의회 제공
23일 경북형 귀농·귀촌 모델상을 찾기 위해 경북도의회 귀농·귀촌 정책연구회가 연구용역 중간보고회를 가졌다. 경북도의회 제공

경북형 귀농·귀촌의 바른 모델상을 찾기 위해 경상북도의회 도의원들이 머리를 맞대고 있다.

경북도의회 의원연구단체인 경북형 귀농·귀촌 정책연구회(대표 이춘우 도의원·영천)는 23일 경북도의회 세미나실에서 '경북형 집단 귀농·귀촌모델 개발 연구용역' 중간보고회를 가졌다.

이번 중간보고회는 지난 9월 29일 착수한 연구용역의 중간결과를 검토하고 미비점을 보완하기 위해 마련됐다. 정책연구회는 이 용역 결과를 통해 저출산과 수도권 인구집중으로 인해 지방소멸위기가 현실화되고 있는 상황을 슬기롭게 극복하겠다는 것이 가장 큰 목적이다. 경북에는 지난해 전국에서 가장 많은 2천136가구가 귀농했고, 경기도에 이어 두 번째로 많은 3만9천229가구가 귀촌했기 때문이다.

이번 연구용역 중간보고에서는 현재 공급자 중심의 지원정책에서 벗어나 주거와 경제 활동 등에 기회를 부여해야 한다는 결과가 나왔다. 귀농귀촌인들이 지역 공동체 속에서 안정적인 소득을 올릴 수 있도록 수요자 맞춤형 지원정책이 마련돼야 한다는 것이 용역결과의 정책연구회 소속 도의원들의 공통된 생각이었다.

이 날 토론을 통해 김수문 도의원(의성)은 "경북의 특성을 반영한 귀농·귀촌모델 도출"을 용역 주최에 요구했다.

이종열 도의원(영양)은 "귀농·귀촌으로 인한 갈등 등 사회적 비용을 최소화하고 지속 가능한 경북형 모델이 필요하다"고 강조했다.

이춘우 경북형 귀농·귀촌 정책연구회 대표는 "최근 10.7%까지 급증한 청년실업률과 만성적으로 일손이 부족한 농촌의 현실을 고려할 때 현실성 있는 경북형 귀농·귀촌 모델 개발을 통해 지역균형발전과 지역경제 활성화라는 일석이조의 효과를 기대할 수 있을 것"이라고 말했다.

최신 기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