SUV 라인업 강화, 안정적 생산 통한 재고 확보 효과
탄탄한 내수 시장에 해외시장 선전까지 더해 코로나 터널 돌파
현대기아자동차가 코로나19로 인한 어려움 속에서도 미국에서의 지난달 실적이 반등에 성공했다. 시장점유율 기준 9년만에 최고 성적을 나타냈다.
현대기아자동차는 최근 3개월 간 미국 내 누적 판매가 32만7천583대로 전년동기대비 0.9% 증가했다. 같은 시기 GM, 포드, 폭스바겐 등 경쟁사들이 10% 가까이 판매가 줄어든 것에 비해 상당한 선전이다.
한국자동차산업협회에 따르면 6~8월 기준 미국 자동차시장에서 현대기아차 점유율은 8.9%에 달했다. 현대기아차가 미국 시장에서 가장 잘 나가던 2011년 미국 시장 점유율과 비슷한 수준이다. 코로나 사태 직전인 지난해 12월부터 올 2월까지의 미국 시장 점유율(7.7%)보다 1.2%포인트(p) 올랐다.
현대기아차의 선전에는 특히 미국 내 차량 판매에서 대부분(76.8%)를 차지하는 스포츠유틸리티차량(SUV), 미니밴, 소형 픽업트럭 등 '경트럭' 계열에서 선전한 영향이 컸다. 이 시기 경트럭 시장에서 현대기아차 시장 점유율은 5.6%에서 6.9%로 대폭 개선됐다.
현대기아자동차의 미국시장 선전은 품질경쟁력을 갖춘 다수의 SUV 신차 출시가 빛을 발한 결과라는 평가가 나온다. 현대기아차는 지난해 연말부터 미국 시장에 SUV 모델인 팰리세이드, 셀토스, 베뉴를 새롭게 출시하며 대형부터 소형까지 모두 아우르는 라인업을 완성했다.
단적으로 지난달 미국에서 팔린 현대기아차 11만1천437대 가운데 65%는 SUV 모델이었다. 현대차는 29.6%, 기아차는 34.6% 늘어난 수치다.
특히 기아차의 북미전략형 대형 SUV 텔루라이드는 지난달 8829대의 판매고를 올리며 지난해 2월 출시 후 최고 성적을 거뒀고, 소형 SUV 셀토스도 5천613대를 팔며 선전했다.
현대차의 주력 모델인 투싼도 1만644대의 판매고를 올리며 제 역할을 다했다. 코나 (6천971대), 팰리세이드(7천741대)도 판매 성적이 좋았다.
현대기아차의 선전에는 해외 완성차 공장 대부분이 코로나19 확산으로 일시 폐쇄됐던 가운데서도 국내 공장에서의 생산이 비교적 원활히 이뤄지면서 수급이 안정적이었던 점도 보탬이 됐다.
업계 한 관계자는 "미국, 독일, 일본 등 주요 자동차 생산국가 브랜드들은 코로나 사태 이후 재고가 많게는 30%까지 줄었으나 한국차 재고는 오히려 소폭 늘었다"고 설명했다.
유럽시장에서도 선전이 이어지고 있다. 지난 8월 서유럽 시장에서 코나 일렉트릭, 니로 EV 등 9천619대의 전기차를 판매하는 등 친환경차를 중심으로 판매량이 회복되고 있다. 이는 전년동기 대비 2배 이상 늘어난 판매고다.
내연기관차를 포함한 전체 판매는 전년동기 대비 3.3% 늘었다. 폭스바겐과 르노 등 유럽 터줏대감들이 20% 이상 판매가 감소한 것을 감안하면 돋보이는 성과다.
개소세 인하 혜택 등으로 상반기부터 국내 판매 성적이 괜찮았던데다 최근 해외 시장에서의 분전이 더해지면서 현대기아차가 코로나 터널을 거의 벗어나고 있다는 분석도 나온다.
현대차의 지난달 내수 판매는 6만7천80대로 지난해 같은 기간보다 33.8% 증가했다. 수출 물량도 29만3천682대로 전년동기에 비해 11% 줄었으나 전월에 비해서는 11% 이상 늘었다.
기아차도 지난달 내수와 수출을 합해 26만23대를 판매했다. 지난해 같은기간(23만5천810대)에 비해 10.3% 늘어난 수치다.
업계에서는 현대기아자동차의 올 4분기 이후 전망도 밝게 보고 있다.
이재일 유진투자증권 애널리스트는 "글로벌 수요가 본격적으로 회복기에 접어들었고, 재고 조정도 마무리되면서 4분기는 생산과 판매 모두 호조세를 나타낼 전망"이라며 "내년에도 현대차의 전기차 전용 플랫폼 신차 출시를 통해 전기차 판매 모멘텀도 더욱 가속화될 전망"이라고 분석했다.
댓글 많은 뉴스
이재명 90% 득표율에 "완전히 이재명당 전락" 국힘 맹비난
권영세 "이재명 압도적 득표율, 독재국가 선거 떠올라"
[우리 아기가 태어났어요]신세계병원 덕담
'이재명 선거법' 전원합의체, 이례적 속도에…민주 "걱정된다"
"하루 32톤 사용"…윤 전 대통령 관저 수돗물 논란, 진실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