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상직·김홍걸 논란도 관심 밖…여야 탈당 비판 공방 숨고르기
북한군의 우리 국민 살해 사건이 정국의 블랙홀이 됐다. 먼저 국정감사를 앞둔 가운데 추미애 법무부 장관의 자녀 특혜 의혹을 놓고 2라운드를 벼르던 여야의 전선이 대북 문제로 옮겨갔다. 이상직 더불어민주당 의원의 자진 탈당 등을 둘러싼 여야 공방도 숨고르기에 들어갔다. 22일 열린 국회 곳곳에서 상임위원회가 열렸지만 북한 문제가 핵심 쟁점이 되었을 뿐 다른 사안은 끼어들 여지가 없었다.
추 장관 문제는 다음 달 7일 시작되는 21대 국회 첫 국감의 최대 쟁점으로 꼽혀왔다. 아들 서모씨의 '황제 휴가' 의혹에는 법제사법위원회와 국방위원회에서 팽팽한 대치가 이어졌다. 국민의힘은 의혹의 중심에 있는 서씨 본인과 서씨와 함께 근무한 군 간부, 카투사 병사 등을 증인으로 신청했다. 민주당은 야당이 정쟁을 위해 증인 신청을 한다며 강하게 맞서고 있는 상황이다. 불꽃튀는 공방이 예고돼 있다는 얘기다.
윤영찬 민주당 의원의 '카카오 문자'로 비롯된 '포털 외압 논란' 등도 도마 위에 오를 것으로 보이지만 일단 정치권의 관심 밖으로 밀려난 양상이다. '뉴질랜드 대사관 성추행 사건'이나 '라임·옵티머스 사태'도 마찬가지다. 예년 같으면 국감을 앞두고 신경전이 날카로워질 시기지만 올해는 북한 문제 추이에 따라 여의도 풍경이 달라질 것이란 말이 나온다.
부동산 재산 신고 축소 의혹 등으로 코너에 몰린 의원들도 일단은 한 숨 돌리게 됐다. 앞서 김홍걸 민주당 의원이 아파트 1채를 신고하지 않은 것으로 드러나 물의를 빚은 뒤 제명됐다. 박덕흠 국민의힘 의원은 소속 상임위인 국토교통위원회 활동을 고리로 공사 발주에서 특혜를 받았다는 의혹 끝에 탈당했다. 최근 불거진 이스타항공 대량 해고와 자녀에게 지분을 편법 증여한 의혹 등으로 사퇴 압박을 받던 이상직 민주당 의원도 당을 떠났다.
이들 모두 당과 결별하면서도 의원직을 지키게 돼 비판 여론이 고조되는 상황이었지만 북의 도발이 터진 게 변수다. 비판 여론을 견딜 시간을 벌었다는 의미다.
국회의 한 관계자는 "정국 이슈가 현안에 따라 옮겨다니는 게 당연하지 않겠느냐"면서도 "예기치 않은 사태가 정국의 흐름을 완전히 바꿔놓은 경우가 적지 않아 지켜봐야 할 것 같다"고 말했다.
댓글 많은 뉴스
이재명 90% 득표율에 "완전히 이재명당 전락" 국힘 맹비난
권영세 "이재명 압도적 득표율, 독재국가 선거 떠올라"
[우리 아기가 태어났어요]신세계병원 덕담
"하루 32톤 사용"…윤 전 대통령 관저 수돗물 논란, 진실은?
'이재명 선거법' 전원합의체, 이례적 속도에…민주 "걱정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