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역거점국립대 네트워크 논의 다시 '기지개'

입력 2020-07-29 21:13:55

다음달 7일 국가거점국립대학교총장협의회 회의서 핵심 의제로 떠올라

경북대 본관. 경북대 제공
경북대 본관. 경북대 제공

최근 여당의 '행정수도 이전' 논의와 맞물려 한동안 잠잠했던 '지역거점국립대 통합 네트워크'(이하 거점국립대 네트워크) 논의가 다시 활기를 띨 전망이다.

경북대와 부산대 등 전국 9개 국립대 총장들의 협의체인 국가거점국립대학교총장협의회(회장교 경북대)는 다음달 7일 회의를 열고 거점국립대 네트워크의 추진 방향 및 다양한 방안 등에 대해 집중적으로 논의할 예정이다.

거점국립대 네트워크는 문재인 정부의 100대 국정과제 중 하나로 지역거점국립대들이 대학 간 교육과정 및 학점, 교수 교류 등을 진행하고 학생들을 공동선발하는 한편 공동학위제를 발급하는 등 일종의 연합대학 형태다.

이와 함께 매년 정부 예산을 투입해 지역 국립대 수준을 최소한 서울중상위권 사립대 수준으로 끌어올린다는 것이다. 이를 통해 궁극적으로는 '한국대학교'(가칭)로 통합해 대학 서열화와 수도권 집중 현상을 해소한다는 것이 골자다.

이 과제는 문 정부 초창기 정치권과 지역거점국립대 사이에 활발하게 논의돼다 흐지부지됐다. 하지만 최근 행정수도 이전 등 국가균형 발전이 화두로 떠오르면서 이와 괘를 같이 하는 거점국립대 네트워크도 논의가 본격화되고 있다.

특히 코로나19 사태가 터지면서 거점국립대 네트워크의 필요성도 대두되고 있다. 코로나19로 인해 자유롭지 못한 상황에서 지역거점국립대 중 어느 대학에서나 학점을 받을 수 있도록 하는 교육서비스가 필요하다는 의견이다. 예를 들어 경북대에 다니는 전북 학생이 굳이 경북대에 오지 않더라도 인근의 전북대에서 강의를 듣고 학점을 받을 수 있도록 하는 것이다.

경북대 관계자는 "코로나19 사태를 겪으면서 대학 총장들도 이런 체제가 필요하다고 인식하고 과거보다 적극적이다"며 "이번 회의에서는 이 같은 방안 등이 다각도로 이야기될 것으로 보인다"고 했다.

다만 추진까지는 여전히 넘어야 할 산이 많다는 것이 대학가의 중론이다. 일부 지역 국립대의 회의적 시각과 지방 사립대들의 반발, 막대한 정부 예산 마련 등이 과제로 꼽힌다.

최신 기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