코로나19 사태에서 빛난 웨어러블 생체신호측정장치 2종
환자 일상생활 하면서도 정밀한 모니터링, 의료진 수고도 크게 덜어
영남대 창업보육센터에 둥지를 튼 트라이벨랩은 코로나 사태 때 빛난 경북의 의료기기 제조사다. 이 회사는 원격으로 코로나19 환자 상태를 살필 수 있는 '감염병 환자 실시간 모니터링 시스템'을 만들어 최근 급성장의 전기를 맞았다.
트라이벨랩이 주목받은 것은 지난 3월 이 시스템을 경북 문경에 만든 생활치료센터(서울대병원 인재원)에 구축하면서부터다.
이 회사는 몸에 착용하는 웨어러블 방식의 생체신호측정장치 2종을 만든다. 심전도계 'VP-100'과 심박수, 호흡수, 혈압 등 모두 6가지 지표를 측정하는 'VDR-1000'이 있다.
이 장비들은 측정한 생체신호를 LTE나 와이파이 통신망을 통해 실시간으로 PC에 전송해줄 수 있는데, 이를 임상시험센터에서 활용한 경험이 있는 서울대병원 의료진이 코로나19 환자 치료에 요긴할 것으로 판단해 협업을 추진했다.
서울대병원은 이 장비 14대를 투입해 생활치료센터 운영기간 동안 20여명의 코로나19 중증환자를 대상으로 운영했다. 덕분에 의료진은 확진자와 접촉은 최소화하면서 환자 상태에 대해 면밀히 감시할 수 있었다.
환자들도 커서 이동이 불편하고, 12개에 달하는 전극 센서를 몸에 부착해야 했던 기존 심전도 검사기의 번거로움을 벗어날 수 있었다. 이 대표는 "환자들이 일상생활을 하지만 급격히 중증으로 악화할 수 있는 코로나19 생활치료센터에서 특히 안성맞춤이었다"고 설명했다.

트라이벨랩의 모니터링 시스템은 환자 기록을 자동으로 전산에 입력해줄 수 있어 의료진의 업무부담도 크게 줄여줬다. 이 대표는 "생활치료센터 내 환자들도 서울대병원 환자 식별 번호를 받고 의무 차트를 기록하게 돼 있다. 다른 생활치료센터에서는 환자의 생체신호 기록을 별도로 옮겨야했지만 문경에서는 그 수고를 덜고, 의료진은 환자 치료에 더 많은 힘을 쏟을 수 있었다"고 설명했다.
내달부터는 본격적인 매출이 기대된다. 이 대표는 "기존에는 하나의 보조기기로서 별도 허가에 따른 임시사용만 가능했지만 지난 21일 의료기기 품목허가를 받으면서 이제는 국내 어디서든 제품을 판매할 수 있게 됐다"고 설명했다.
추후 감염병사태 대응차원에서 서울시를 비롯해 전국 지자체로부터 주문이 밀려들고 있는 상황이다. 쿠웨이트로 수출 논의가 진행 중이고 조만간 유럽에서 쓰이는 CE인증을 취득하면 수출논의가 더욱 활발해질 것으로 기대하고 있다.
이 대표는 "앞으로는 부정맥을 확인하고 판별하는 시스템을 장치에 추가하는 등 환자에 대한 조기경보시스템을 고도화하려고 한다. 또 반려동물용 모니터링 시스템이나 해외시장 등 새로운 곳도 개척하고 싶다"고 밝혔다.
댓글 많은 뉴스
권영세 "이재명 압도적 득표율, 독재국가 선거 떠올라"
이재명 90% 득표율에 "완전히 이재명당 전락" 국힘 맹비난
이재명 "TK 2차전지·바이오 육성…신공항·울릉공항 조속 추진"
전광훈 "대선 출마하겠다"…서울 도심 곳곳은 '윤 어게인'
이재명, 민주당 충청 경선서 88.15%로 압승…김동연 2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