대구 동구의회 “시 단위 지역화폐, 오히려 상권 불균형 심화”

입력 2020-07-28 18:15:16

“특정 상권에 소비 쏠림…구 단위 지역화폐 만들어야”
동구청 "국비 지원 안 돼 자금 마련 부담…실용성도 의문"

지난 22일 대구 동구 봉무동 DTC 대구섬유박물관 비즈니스센터에서 동구 지역화폐 도입을 위한 연구 용역 결과 발표 공청회가 열렸다. 동구청 제공
지난 22일 대구 동구 봉무동 DTC 대구섬유박물관 비즈니스센터에서 동구 지역화폐 도입을 위한 연구 용역 결과 발표 공청회가 열렸다. 동구청 제공

대구시의 지역화폐인 '대구행복페이'가 큰 호응을 얻고 있는 가운데, 구(區) 단위 지역화폐를 도입해야 한다는 목소리가 커지고 있다.

광역시 단위로 지역화폐가 유통되면 상권이 풍부한 지역에 소비 쏠림현상이 발생해 지역화폐 도입 취지가 훼손된다는 것이다.

대구시에 따르면 27일 기준 대구행복페이의 누적 충전금액은 1천68억1천991만원, 카드 발급 건수는 17만6천494건으로 애초 계획된 1천억 규모를 훌쩍 넘어섰다. 예상을 넘는 반응에 대구시는 총 발행 규모를 3천억으로 상향 조정하기로 했다.

이에 구 단위의 지역화폐도 만들어야 한다는 주장이 제기되고 있다. 지난해부터 동구 지역화폐 도입을 주장해온 권상대 동구의원은 "광역시 차원에서만 지역화폐를 발행하면 혜택이 도심 주변부의 골목상권까지 전달되지 않을 가능성이 높다"며 "소비촉진과 함께 소상공인의 매출 증진을 위해 마련된 지역화폐가 오히려 상권 불균형을 심화시킬 수 있는 것"이라고 했다.

이러한 주장을 뒷받침하고자, 동구의회 의원 연구단체 '청보리'는 지난 22일 공청회를 열고 대구경북 지방의회 최초로 정책개발비를 사용해 발주한 '동구 지역화폐 도입 관련 연구용역' 결과를 발표하기도 했다.

용역 보고서에 따르면 동구와 인구 규모가 비슷한 인천 연수구의 경우, 인천시의 지역화폐가 통용되고 있는 가운데 자체 지역화폐를 도입한 결과 역외 소비는 129억 원 줄고 역내 소비는 228억 원 증가하는 등 긍정적 효과를 거둔 것으로 조사됐다.

이에 대해 동구청은 재정적 문제와 실용성 등을 이유로 동구 지역화폐 도입에 다소 회의적인 입장을 보이고 있다.

동구청 관계자는 "올해는 지난해와 달리 기초자치단체가 지역화폐를 발행할 경우 정부 지원 없이 구에서 자금을 모두 부담해야 한다"며 "자금 문제가 해결된다고 해도 실용성이 검증되지 않은 만큼 신중하게 접근해야 한다"고 했다.

최신 기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