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울, 경기, 영남권, 호남권에 각 1개씩 설치…"부지도 미리 마련해둬야"
환경부가 그린뉴딜 사업의 일환으로 수소·전기차 충전기능을 갖춘 복합상업시설을 만들겠다는 계획을 밝히면서 전기차 선도도시인 대구시가 유치 전략을 서둘러 마련해야 한다는 지적이 일고 있다.
지난 22일 '친환경 미래 모빌리티 보급 계획'을 발표한 환경부는 전기차 급속 충전기 150기, 수소 충전소 2기, 전시‧체험 시설을 복합적으로 갖춘 '명소(랜드마크)형 충전소'(메가스테이션)를 전국 4곳에 설치할 계획이라고 밝혔다.
메가스테이션은 전기차, 수소차 운전자들이 충전하는 동안 쇼핑, 식사 등 여가 생활을 즐기는 공간으로 조성될 전망이다.
내년에 시범사업으로 1곳을 설치하고 2025년까지 전국 3곳에 추가로 설치한다는 게 환경부의 계획이다. 지방자치단체를 대상으로 한 공모 방식으로 서울, 경기, 영남권, 호남권에 각 1개씩 설치되는 안이 유력하게 검토되고 있다.
환경부의 계획에 따라 대구시도 분주하게 움직이고 있다.
실제 지난 27일 대구시 미래자동차과 직원들이 세종시에 있는 환경부 청사를 방문해 메가스테이션 계획에 대한 의견을 나누기도 했다. 대구시 관계자는 "환경부도 아직까진 세부적인 계획은 마련하지 않은 상황이었다"며 "지금부터 유치 전략을 준비해나가겠다"고 말했다.
대구시는 높은 전기차 보급률을 토대로 메가스테이션을 유치하겠다는 계획이다.
하지만 저조한 수소차 보급률은 약점으로 지적된다. 주요 대도시 수소차·충전소 보급 현황을 보면 울산이 1천516대(충전소 6곳)로 가장 많고, 서울(1천78대·4곳)과 부산(752대·2곳)이 뒤를 잇는다. 환경부도 2025년까지 수소차 보급을 20만대 이상 늘리겠다고 발표하는 등 수소차 분야에 힘을 쏟고 있다.
이에 대해 수소 전문가로 꼽히는 박진남 경일대 교수는 "2022년까지 수소차 1천대, 수소충전소 4개소를 마련하겠다는 대구시의 수소 산업 기반구축 기본계획이 정상적으로 추진된다면 대구도 어느 정도 경쟁력을 갖추게 될 것"이라며 "서대구역 개발 계획에 메가스테이션 부지를 미리 계획하는 등 지금부터 치밀하게 준비해야 한다"고 조언했다.
댓글 많은 뉴스
이재명 90% 득표율에 "완전히 이재명당 전락" 국힘 맹비난
권영세 "이재명 압도적 득표율, 독재국가 선거 떠올라"
이재명 "TK 2차전지·바이오 육성…신공항·울릉공항 조속 추진"
대법원, 이재명 '선거법 위반' 사건 전원합의체 회부…노태악 회피신청
한덕수 "24일 오후 9시, 한미 2+2 통상협의…초당적 협의 부탁"