환경부, 일반정수장 전수조사 결과 발표…8월말까지 종합대책 마련
수도권 지역의 수돗물에서 유충이 발견된 것을 두고 전국 일반 정수장을 전수조사한 결과 유충이 발견되지 않았다.
환경부는 이달 17∼26일 전국 일반정수장 435곳을 전수 조사한 결과 모든 일반정수장의 배수지와 수용가(수돗물 사용처)에서 유충이 발견되지 않았다고 28일 밝혔다.
다만 경남 합천의 적중, 강원 강릉의 연곡, 전북 무주의 무풍 등 정수장 3곳의 여과지에서 유충이 소량 발견됐다. 이 유충은 배수지 및 수용가에서 발견되지 않았다.
유충이 여과지서만 발견되고 정수지와 배수지에서는 발견되지 않은 것은 유충이 여과지에서 걸러져 가정에 공급되는 수돗물에는 흘러가지 않은 것을 의미한다. 수돗물은 통상 취수장의 혼화지, 응집지, 침전지, 여과지 등 여러 단계를 거치고 염소를 투입 후에 정수지, 펌프실, 배수지 등을 거쳐 일반 가정으로 공급된다.
환경부는 합천·무주 정수장의 여과지에서 유충이 발견된 이유에 대해 여과지를 뒤집어 세척하는 역세척 주기를 통상 주기인 2∼3일보다 긴 7일 주기로 운영했기 때문으로 추정했다.
합천·무주 정수장에서 쓰는 계곡수는 수질이 매우 좋은 편이어서 역세척 주기를 상대적으로 길게 운영했는데 이 과정에서 유충이 생긴 것 같다는 설명이다.
강릉 정수장은 여과지가 외부에 노출되면서 유충이 유입된 것으로 조사됐다.
환경부는 이에 3곳 정수장의 여과지 모래를 교체하고 역세척 주기를 단축하는 등 보완 조치를 이달 31일까지 완료할 계획이다.
앞서 진행된 49개 고도정수처리장 전수조사에서는 인천 공촌·부평정수장을 포함해 7곳의 정수장 활성탄 여과지(활성탄지) 겉면에서 유충이 발견됐다. 활성탄지는 숯과 비슷한 다공질 탄소 물질로 만들어진 정수 설비다.
인천의 경우 유충이 발견된 활성탄지를 차단하고 배수지 및 관로에서 물을 흘려보낸 결과 22일 이후부터는 모든 관로에서 유충이 발견되지 않았다.
환경부는 관로 말단의 수돗물 속에 남아있던 일부 유충이 가정에서 발견되고 있으나 발견 건수는 대폭 감소했다고 설명했다.
또한 다른 지역의 유충 발견 민원을 조사한 결과 지금까지 수돗물 공급계통에서는 벌레가 발견되지 않았다고 밝혔다.
환경부는 향후 전문가 정밀원인조사반의 조사 결과를 반영해 종합적인 대책을 8월 말까지 수립할 계획이다. 또 종합대책 수립 전 긴급한 대응을 위해 수돗물 위생관리 우선 조치사항을 마련했다.
먼저 정수처리시설 내 유충유입을 방지하기 위해 위생관리를 강화한다. 정수장 건물동에 미세방충망, 이중 출입문을 설치해 깔따구 등 생물체 유입을 원천 차단하고, 건물내 유충 유입시 퇴치할 포충기를 설치한다. 입상활성탄지에 개폐식 차단시설 등도 설치해 생물체의 접근을 차단한다.
유충의 번식 및 정수장으로의 유입 가능성을 고려해 여름철에는 활성탄지 역세척 주기를 최대한 단축하고, 저수조 등은 강화된 일상점검을 실시하도록 조치할 계획이다.
또 이번 수돗물 유충 사태의 조기 수습 및 주민불안 방지를 위해 수돗물 민원을 실시간으로 파악하고 민원 조치사항의 전 과정을 신속하게 공개할 계획이다.
댓글 많은 뉴스
이재명 90% 득표율에 "완전히 이재명당 전락" 국힘 맹비난
권영세 "이재명 압도적 득표율, 독재국가 선거 떠올라"
[우리 아기가 태어났어요]신세계병원 덕담
"하루 32톤 사용"…윤 전 대통령 관저 수돗물 논란, 진실은?
'이재명 선거법' 전원합의체, 이례적 속도에…민주 "걱정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