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인천공항은 비정규직 제로 사업장인데 논란 아쉽다"
구본환 인천국제공항공사(인국공) 사장은 계약직 보안검색요원의 직고용 문제로 불거진 '인국공 사태'에 대해 "사회적 논의가 더 필요하다"는 입장을 밝혔다.
구 사장은 22일 기자간담회를 갖고 "(보안검색요원의 정규직 전환과 관련해) 지난달 22일에 정해진 큰 틀은 변함이 없다. 그렇지만 더 많은 이야기를 들어보려고 한다"고 말해 다소 유보적 태도를 보였다.
이에 앞서 공사는 지난달 22일 1천902명인 여객보안검색 근로자를 '청원경찰' 형태로 직고용하기로 발표했다. 그리고 이들중 2017년 5월 이후에 들어온 약 900명은 공개 채용 절차를 통과해야 한다는 조건을 제시했다.
이와 관련, 취업준비생들 사이에서는 사실상 100% 직고용되는 약 1천명의 보안검색 요원들이 받는 혜택이 과도하다며 반발했다. 또한 공개 채용 과정에서 탈락할 수 있는 처지에 놓인 900여명의 보안검색 요원들도 탈락자 구제 방안이 없다며 반발했다.
이날 구 사장은 "이미 3년 전에 다 정해진 내용이고 신분만 '특수경비원'에서 '청원경찰'로 바꾼 것뿐인데 이렇게 크게 논란이 될지 몰랐다. 최근에 들어온 젊은 직원들이 합의 상황을 잘 몰라서 오해하는 것 같다"고 설명했다.
구 사장은 "지난달 30일 기준으로 60개가 넘는 협력 업체 소속 약 1만명의 용역 직원들이 공사의 3개 자회사 정규직으로 전환하면서 인천공항은 비정규직 제로인 사업장이 됐다"며 "문재인 정부에서 큰 성과인데 이런 논란이 돼 아쉽다"고 말했다.
향후 계획에 대해서는 "공사 노조나 보안검색 요원들 의견은 물론 국회나 여러 분야에서 의견을 듣고 있다"며 "기존의 일정이 달라질지는 모르겠지만 일단은 의견을 더 들어보겠다"고 했다.
댓글 많은 뉴스
이재명 90% 득표율에 "완전히 이재명당 전락" 국힘 맹비난
권영세 "이재명 압도적 득표율, 독재국가 선거 떠올라"
[우리 아기가 태어났어요]신세계병원 덕담
"하루 32톤 사용"…윤 전 대통령 관저 수돗물 논란, 진실은?
대법원, 이재명 '선거법 위반' 사건 전원합의체 회부…노태악 회피신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