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BS가 이른바 '검언 유착' 사건 관련 채널A 이동재 전 기자가 구속된 다음 날 "이 전 기자와 한동훈 검사장이 4월 총선을 앞두고 유시민 노무현재단 이사장의 신라젠 주가 조작 연루 의혹을 제기하자고 공모한 정황이 확인됐다"고 보도했다가 하루 만에 사실상 오보를 인정하며 사과했다. 이 전 기자 측이 한 검사장과 이 전 기자의 대화 녹취록 중 '신라젠' 관련 부분을 모두 공개하면서 오보로 판명 난 것이다.
KBS의 사과로 그칠 일이 아니다. 오보를 낸 결정 과정 전체에 대한 철저한 조사가 필요하다. 이 전 기자가 구속된 바로 다음 날 보도를 한 타이밍부터 그렇다. '검언 유착'을 기정사실화하려는 의도가 아니냐는 것이다. 보도 수위도 그렇다. KBS는 '확인됐다'고 했다. 웬만큼 확실한 정보가 아니면 언론은 이런 단정적 표현을 쓰지 않는다. 그 정보나 제보를 어떤 경로로 입수했는지 명확히 규명돼야 한다.
이런 문제와 관련해 KBS 공영노조는 "누군가 던져 주면 옳거니 하고 다 카더라 식으로 받아 쓰는 게 KBS 보도본부의 취재 행태인가?"라고 자사를 비판했다. KBS를 고소한 한동훈 검사장 측도 "KBS가 악의적인 허위 사실을 유포하도록 한 취재원이 누구인지 밝힐 때까지 고소를 취하하지 않을 것"이라고 했다. KBS 보도 당시 해당 녹취록은 서울중앙지검 수사팀과 이 전 기자 측만 가지고 있었다.
진중권 전 동양대 교수는 한발 더 나아갔다. 그는 "이번엔 (KBS와) 서울중앙지검과의 연결에 주목해야 한다. 일각에선 (서울중앙지검으로부터) 정치권으로 넘어간 게 KBS로 흘러 들어간 게 아니냐는 말도 나온다"며 오보의 '소스'로 '검언 유착' 사건을 수사하고 있는 서울중앙지검을 지목했다. 검찰 일각에서는 녹취록 내용이 여권으로 흘러 들어간 뒤 왜곡됐을 가능성이 제기된다.
'검언 유착' 사건은 현 정권이 억지로 '사건화'한 것이라는 의심을 피하지 못하고 있다. 이 와중에 터진 KBS의 오보는 사건의 실체는 '검언 유착'이 아니라 '권언(권력-언론) 유착'이라는 의심으로 비화하고 있다.
댓글 많은 뉴스
이준석, 전장연 성당 시위에 "사회적 약자 프레임 악용한 집단 이기주의"
"대법원장 탄핵 절차 돌입"…민주 초선들 "사법 쿠데타"
5·18묘지 참배 가로막힌 한덕수 "저도 호남 사람…서로 사랑해야" 호소
민주당 "李 유죄 판단 대법관 10명 탄핵하자"…국힘 "이성 잃었다"
[전문] 한덕수, 대선 출마 "임기 3년으로 단축…개헌 완료 후 퇴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