박 의장·정 총리…김종인 발(發) '개헌론' 탄력 받을까

입력 2020-07-17 17:11:33 수정 2020-07-17 19:13:40

공론화 주목 속 통합당 적극 차단막

박병석 국회의장이 17일 오전 국회에서 열린 제72주년 제헌절 경축식에서 경축사를 하고 있다. 연합뉴스
박병석 국회의장이 17일 오전 국회에서 열린 제72주년 제헌절 경축식에서 경축사를 하고 있다. 연합뉴스
미래통합당 김종인 비상대책위원장이 17일 국회 의원회관에서 최승재 의원, 백년가게 국민운동본부 주최로 열린
미래통합당 김종인 비상대책위원장이 17일 국회 의원회관에서 최승재 의원, 백년가게 국민운동본부 주최로 열린 '중소상공인의 꿈 백년가게 길을 찾다' 세미나에서 축사하고 있다. . 연합뉴스

제헌절인 17일 박병석 국회의장과 정세균 국무총리가 약속이나 한 듯 개헌을 주장하고 나섰다. 더불어민주당이 범여권과 손잡을 경우 개헌 가능선인 200석에 육박할 수 있어 추진 동력 여부와 관계없이 정치권에 미칠 파장이 관심사다.

박 의장은 이날 제72주년 제헌절 경축식에서 "헌법이 개정된 지 33년, 한 세대가 지난 현행 헌법으로는 시대정신을 온전히 담아내기 어렵다"고 말했다. 그는 "코로나 19 위기 상황에서 사회권적 기본권, 자치분권, 시민 참여 등 새로운 시대 가치를 담아내는 새 국가 규범이 필요하다는 인식도 높아지고 있다"며 개헌 필요성을 강조했다. 그러면서 "내년까지가 적기다"라며 "선택과 결단만 남았다"고 밝혔다.

대표적 개헌론자인 정세균 국무총리도 페이스북에 글을 올려 국회가 개헌 논의를 시작해야 한다고 했다. 정 총리는 "촛불로 이룩한 민주주의를 한 단계 성숙시키고, 변화된 시대 흐름에 맞게 경제·사회·문화·노동·환경 등 모든 분야에서 헌법정신을 제대로 구현하는 작업을 시작할 때"라고 밝혔다. 그는 20대 국회 전반기 의장 시절 분권형 개헌을 추진했고, 총리 취임 후엔 21대 국회 출범 1년 내 개헌 필요성을 제기했다.

개헌 저지선을 확보하고 있다지만 미래통합당은 경계 속에서도 일부 동조 분위기가 감지된다. 김종인 비상대책위원장은 최근 관훈클럽 초청 토론회에서 "내용도 없이 내년까지 개헌을 완료해야 한다는 데 회의적"이라면서도 "권력구조를 개편하겠다는 제의가 있으면 적극적으로 검토할 용의가 있다"고 밝혔다.

그는 더불어민주당 비상대책위원장을 맡던 지난 2016년에도 "경제민주화와 책임정치, 굳건한 안보, 세가지 축이 대선 승리의 관건이며, 이를 위한 선결조건은 개헌"이라고 말한 바 있다.

21대 총선 뒤 개헌론은 문재인 대통령이 처음 제기했다. 문 대통령은 5·18 민주화운동 40주년 기념식에서 5·18 정신의 헌법 전문 반영을 위한 개헌을 제안했다.

이에 안철수 국민의당 대표와 심상정 정의당 대표가 호응하면서 향후 정국의 뇌관이 될 수 있다는 전망이 나왔다. 당장 정가에선 개헌 논의가 본격화할 경우 통합당이 지난해 패스트트랙(신속처리안건) 정국 당시 여야 '4+1' 협의체 앞에 무너진 것처럼 고립될 수 있다는 말들이 나온다.

정세균 국무총리가 17일 정부서울청사에서 열린 아동정책조정위원회를 주재하며 발언하고 있다. 연합뉴스
정세균 국무총리가 17일 정부서울청사에서 열린 아동정책조정위원회를 주재하며 발언하고 있다. 연합뉴스

최신 기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