통합당, '월세' 끝 '자가' 임박?…"건물주 결심만 남아"

입력 2020-07-17 16:46:28 수정 2020-07-22 14:25:04

계약 성사 시 2년 만에 여의도 복귀

미래통합당이 현재 2개 층을 빌려서 중앙당사로 이용 중인 서울 영등포 당사의 모습. 통합당은 2017년 대통령 선거와 2018년 지방선거에 잇따라 참패하면서 서울 여의도에 있던 중앙당사를 처분하고 영등포동 7가로 옮겨갔다. 매일신문 DB
미래통합당이 현재 2개 층을 빌려서 중앙당사로 이용 중인 서울 영등포 당사의 모습. 통합당은 2017년 대통령 선거와 2018년 지방선거에 잇따라 참패하면서 서울 여의도에 있던 중앙당사를 처분하고 영등포동 7가로 옮겨갔다. 매일신문 DB

미래통합당이 곧 월세 생활을 끝내고 '내 집 마련'의 꿈을 이룬다. 임대로 쓰는 서울 영등포 소재 중앙당사를 대신할 건물 매입 계약을 앞두고 있어서다. '실탄'은 지역 정가에서 우려했던 150억원 상당 대구경북 시·도당사 매각 등 전국의 자산 처분(관련 기사 150억 대구경북 시도당 당사…통합당, 매각 나서나?)이 아닌 대출로 마련키로 했다.

16일 통합당 핵심 관계자는 "현재 건물주 결심만 남은 것으로 알고 있다"면서 "더불어민주당이 현 당사를 살 때와 마찬가지로 담보 대출을 통해 구입 대금을 마련하려고 한다. 대상 물건은 높은 건물은 아니며, 2~3개 층을 당에서 쓰고 나머지는 임대할 계획으로 알고 있다"고 밝혔다. 이 같은 내용은 최근 비상대책위원회에도 보고가 끝난 것으로 알려졌다.

이어 "김종인 비상대책위원장이 새 술을 새 부대에 담고 싶은지 이사와 함께 새 당명 현판식을 하고 싶어 한다. 그래서 당사 이전은 당명 변경과 시점이 맞물릴 것"이라고 했다.

만약 이번 계약이 성사되면 통합당은 2년 만에 여의도로 복귀하게 된다. 현재 통합당은 국회에서 1㎞가량 떨어진 영등포동 7가 우성빌딩 2개 층을 중앙당사로 쓰고 있다.

2018년 지방선거마저 참패하며 비용 절감과 당 쇄신을 위해 2008년부터 쓰던 여의도 소재 10층짜리 한양빌딩에서 현 위치로 옮겼다. 당시 6개 층을 빌려 쓰며 매달 1억원 가량을 월세로 냈던 탓이다.

하지만 옮겨 간 곳이 국회와 거리가 떨어져 있는 탓에 사무처 직원이 당사와 국회 등지에 흩어져 있게 되면서 효율성이 떨어진다는 불만이 많았다. 이러한 불편에도 매달 2천만원을 월세로 냈다.

한편, 민주당은 2017년 대선을 앞두고 국회 앞에 지상 10층·지하 4층 규모 건물을 200억원 조금 못 미치는 가격에 사들여 중앙당사로 쓰고 있다. 매입 비용 80%는 10년 분할 상환 조건으로 대출을 받아 충당한 것으로 알려졌다. 현재 건물 가치가 매입 시점에 비해 100억원 가량 올라 정치권에서는 당시 계약을 '신의 한 수'로 평가한다.

서울 여의도 소재 한양빌딩의 모습. 이 건물은 미래통합당의 전신인 한나라당이 서울 강서구 염창동 당사 시절을 끝내고 2007년부터 11년 간 중앙당사로 쓴 곳이다. 여기서 두 명의 전직 대통령을 배출하며 영광의 시절을 보냈다. 그러나 박근혜 전 대통령의 탄핵과 분당, 2017년 대선 패배, 2018년 지방선거 참패로 위기를 맞은 곳이기도 하다. 매일신문 DB
서울 여의도 소재 한양빌딩의 모습. 이 건물은 미래통합당의 전신인 한나라당이 서울 강서구 염창동 당사 시절을 끝내고 2007년부터 11년 간 중앙당사로 쓴 곳이다. 여기서 두 명의 전직 대통령을 배출하며 영광의 시절을 보냈다. 그러나 박근혜 전 대통령의 탄핵과 분당, 2017년 대선 패배, 2018년 지방선거 참패로 위기를 맞은 곳이기도 하다. 매일신문 DB

최신 기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