상반기 좌석판매율 전년보다 절반 이상 '뚝'…"재개관에도 매출 회복 못해"
"카드사 할인혜택 묵혀두기 아까워…필요한 지인에게 티켓 대리예매"
코로나19 여파로 극장가가 여전히 침체에서 벗어나지 못하고 있다.
영화진흥위원회 통합전산망에 따르면 올해 상반기 좌석판매율은 10.7%로 지난해 같은 기간(21.9%)의 절반에도 미치지 못한 것으로 나타났다.
특히 코로나19 확진자가 급증한 이후부터 이 같은 분위기는 더욱 심화된 것으로 나타났다.
영화진흥위원회의 올해 좌석판매율 통계를 분석한 결과 지난 2월까지는 평일 10%, 휴일은 25%에 달했지만, 코로나19가 급격히 확산한 3월부터는 평일 2%, 휴일 5%로 급감했다.
지역 영화관들은 코로나19 확산에 대비해 방역에 더욱 힘을 쓰는 모양새다.
롯데시네마, CGV, 메가박스 등 주요 영화관들은 예매 단계에서부터 일행을 제외하고는 좌석을 나란히 결제하지 못하도록 예매 방식을 조정했다. 이에 좌석 가동률은 최대 66% 정도로 유지하고 있다. 또 일부 영화관은 상영회차를 줄였고, 상영관 입장 전 체온 체크와 마스크 착용 여부를 확인하고 있다.
대구의 한 영화관 관계자는 "경영상 어려움 때문에 문을 열어놓기는 했지만 전년 대비 관객 수가 상반기에 70%나 줄었다"고 토로했다.
다만 이달부터 '반도', '강철비2: 정상회담' 등 기대작들이 개봉을 예고하면서 회복에 대한 기대감도 나오고 있다. 영화진흥위원회에 따르면 지난달 좌석판매율은 5월(4.1%)에 비해 약 3%p 증가한 7.6%로 나타났다.
한편, 영화관으로의 발걸음이 뜸해지면서 온라인을 중심으로 티켓 대리 예매도 횡행하고 있다. 카드사, 통신사 할인혜택 등으로 티켓을 저렴한 가격에 구할 수 있는 이들이 타인에게 일정 금액을 받고 티켓을 넘기는 것이다.
온라인에서 대리 예매를 해줬다는 A(35) 씨는 "밀폐된 공간에서 두 시간씩 있는 게 우려돼 2월부터 영화관을 안 가고 있다. 카드사 혜택으로 매월 반값에 영화티켓을 구매할 수 있는데 묵혀두기가 아까워 소액의 차액만 남기고 되파는 경우가 많다"고 했다.
댓글 많은 뉴스
문재인 "정치탄압"…뇌물죄 수사검사 공수처에 고발
이준석, 전장연 성당 시위에 "사회적 약자 프레임 악용한 집단 이기주의"
[전문] 한덕수, 대선 출마 "임기 3년으로 단축…개헌 완료 후 퇴임"
대법, 이재명 '선거법 위반' 파기환송…"골프발언, 허위사실공표"
野, '피고인 대통령 당선 시 재판 중지' 법 개정 추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