6.25전쟁 당시 전부톡 수의로 입고
현충원 입구서 안장 찬반 단체 간 대치…경찰, 420명 배치해 통제
고(故) 백선엽 장군의 안장식이 15일 국립대전현충원에서 엄수됐다.
백선엽 장군은 이날 대전 유성구의 국립대전현충원 장군2묘역에 안장됐다. 고인은 6·25전쟁 당시 전투복과 같은 모양의 미군 전투복을 수의로 입은 채 영면에 들었다.
안장식에는 유가족을 비롯해 서욱 육군참모총장, 로버트 에이브럼스 연합사령관, 해리 해리스 주한 미국대사, 예비역 장성단체(성우회) 회장단, 역대 참모총장 등이 참석했다.
육군 측은 신종 코로나바이러스 감염증(코로나19) 상황을 고려해 참석 인원을 최소화했다고 전했다.
행사는 개식사, 고인에 대한 경례, 추도사, 헌화 및 분향, 하관, 허토(흙을 관 위에 뿌리는 절차), 조포 및 묵념, 참모총장 인사말, 폐식사 순으로 최고 예우를 갖춰 거행됐다.
김판규 전 육군참모총장은 추도사에서 "장군님은 위기마다 대한민국을 구해 세상 사람들이 '살아 있는 전설'로 부른다"며 "조국의 별로 이 땅을 지키시다 하늘의 별이 되신 장군님께서 더 영롱한 별빛을 뿌려주는 호국의 큰 별이 돼 주셨으면 한다"고 말했다.
이어 경북 다부동 전투 참전용사 4명과 육군 장병 4명이 백 장군 묘에 허토했다.
허토에 사용된 흙은 고인이 생전에 '의미 있다'고 생각한 다부동 등 6·25 격전지 8곳에서 가져온 것이다.
서욱 육군참모총장은 "장군님께서는 사랑하는 전우가 있는 곳에서 행복한 웃음을 짓고 계실 것"이라며 "이제 무거운 짐은 후배에게 내려놓고 평안하시길 바란다"고 말했다.
지난 10일 향년 100세로 별세한 백 장군은 33세이던 1953년 1월 육군 대장으로 진급하며 국군 역사상 최초의 4성 장군이 됐다. 백 장군은 다부동 전투 등 많은 전투를 이끌며 공을 세워 '6·25 전쟁 영웅'으로 추앙받지만, 친일 행적으로 논란이 되기도 했다.
이 때문에 행사 전 현충원 입구에서는 백 장군 안장 찬반 단체 간 대치로 긴장감이 조성됐다. 일부 참가자 간 몸싸움이 벌어지기도 했다.
인터넷으로 안장식 현장을 생중계하던 일부 유튜버들이 군·경찰 통제를 잘 따르지 않아 마찰을 빚는 모습도 보였다.
경찰은 420명의 인력을 곳곳에 배치해 충돌을 제지하는 등 만일의 사태에 대비했다.
댓글 많은 뉴스
이재명 90% 득표율에 "완전히 이재명당 전락" 국힘 맹비난
권영세 "이재명 압도적 득표율, 독재국가 선거 떠올라"
[우리 아기가 태어났어요]신세계병원 덕담
'이재명 선거법' 전원합의체, 이례적 속도에…민주 "걱정된다"
"하루 32톤 사용"…윤 전 대통령 관저 수돗물 논란, 진실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