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억원 받은 감리단, 백사장 복원 모래 빼돌릴 때 뭐 했나?

입력 2020-07-14 16:10:18 수정 2020-07-14 16:52:50

포항시, 감리단에게 모래유출 걱정해 여러 차례 관련 공문도 보냈지만 허사
허술한 감시 속에 송도해수욕장 백사장 복원에 쓰여야 할 모래는 외지로 팔려가

경북 포항시 북구 중앙동 도시재생 뉴딜사업 현장의 모래가 부산지역으로 팔려나간 사실이 일부 확인돼 공사가 중단됐다. 현재 공사장 문은 굳게 닫힌 상태다. 신동우 기자
경북 포항시 북구 중앙동 도시재생 뉴딜사업 현장의 모래가 부산지역으로 팔려나간 사실이 일부 확인돼 공사가 중단됐다. 현재 공사장 문은 굳게 닫힌 상태다. 신동우 기자

경북 포항 송도해수욕장 백사장 복원사업에 쓰일 예정이던 모래 수천t이 2개월가량 부산으로 팔려나간 사실(매일신문 14일 자 1면)이 일부 확인되면서 현장관리를 해야 할 감리단에 대한 비판이 일고 있다. 포항시가 모래 관리의 중요성을 알리는 내용을 감리단에 수 차례 주지시킨데다 20억원의 비용까지 지불했기 때문이다.

포항시에 따르면 해당 현장(포항 도시재생 뉴딜사업)의 감리는 대구업체인 A사 등 3곳이 맡고 있다. 감리단은 반·출입 때 트럭마다 개별 송장을 작성하고 있지만 대부분 운송기사가 직접 기입한 것으로 알려졌다.

간혹 모래 반·출입 양을 현장마다 확인했지만 매번 시행한 것이 아니라 표본조사처럼 수 일에 한 번씩 그날 반·출입 양을 대조하는 방식으로 이뤄졌다. 모래가 반출된 공사현장과 해당 모래를 받는 사업현장의 감리업체가 달라 모래의 총 반·출입 양을 일일이 파악하기 쉽지 않다는 게 감리단 측 설명이다.

그러나 불법 모래 반출 의혹이 제기되면서 감리사는 지난 7일 트럭 1대가 지정 사토장 외에 다른 곳으로 이동한 것을 확인하고 포항시에 보고한 뒤 공사를 임시 중단했다. 이후 감리단은 현장조사반을 투입해 지금까지 모래가 어떤 방식으로 불법 반출됐는지와 얼마만큼의 모래가 외부로 유출됐는지 등을 파악하고 있다. 또 공사현장과 지정 사토장 입구마다 CCTV를 설치하고, 감리 인원을 추가 투입해 추후 발생할지 모를 유츨을 사전 차단할 방침이다. 포항시 역시 14일 장부상 모래 반출입 양과 실제 현장 모래양을 비교하는 등 조사를 시작하는 한편 관련 사항을 포항북부경찰서에 수사 의뢰했다.

감리 관계자는 "현장의 모래가 전부 공공사업에 쓰이지는 않는다. 질이 떨어지는 모래는 성토 등에 투입되기도 해서 외부 업체에 판매된 모래의 양을 정확히 확인하긴 어렵다. 지정 사토장마다 직원을 뒀으면 좋겠지만 현실적으로 어려운 점이 많아 이런 일이 발생한 것으로 보인다"고 했다.

이에 대해 관련 업계에서는 감리회사가 편의를 위해 기본적인 감독체계를 시행하지 않았기 때문이라고 지적했다. 한 운송업자는 "공사장에서 나온 트럭이 제대로 입하장에 도착했는지 기록하는 것은 감리단의 기본업무"라며 "현장마다 관리자 1명을 두고 반·출입 확인도장을 받게 하는 단순작업만으로도 충분히 관리감독이 가능할 일을 왜 소홀히 했는지 모르겠다"고 했다.

최신 기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