8년째 활용방안 찾는 대전의 충남도청 이전 터

입력 2020-07-08 16:01:32 수정 2020-07-08 22:15:27

[대구공간구조] 2013년 충남도청 이전 후 일부만 전시시설과 창업공간으로 활용
상당 부분 빈터로 남아…최근 국립현대미술관 유치 움직임도

대전 중구의 옛 충남도청사 본관의 경관 조명. 이곳은 현재 대전근현대사전시관으로 활용되고 있다. 대전시 제공
대전 중구의 옛 충남도청사 본관의 경관 조명. 이곳은 현재 대전근현대사전시관으로 활용되고 있다. 대전시 제공

대전의 옛 충남도청 이전 터는 대구의 '반면교사'다. 지난 2013년 1월 대전 중구 선화동의 충남도청사가 충남 홍성군·예산군(내포신도시)으로 옮기면서 이전 터는 빈 곳으로 남게 됐다. 올해로 8년째 옛 충남도청 터에 대한 활용방안을 찾고 있다. 현재 일부 공간을 대전근현대사전시관과 대전창업허브 등으로 사용하고 있다.

이곳은 현재 대구시청사와 비슷한 위치다. 바로 맞은 편에 대전 중구청이 있고, 도시철도 중구청역도 인접해 있다. 상권 쇠락과 인구 감소를 겪는 원도심에 있다는 점도 공통점이다. 대전역과 함께 대전의 도시화를 이끈 역사성과 상징성을 갖고 있다는 점도 대구와 사정이 다르지 않다.

충남도청사 활용방안 마련을 위해 도시계획과 건축, 문화 분야의 전문가들로 구성된 민관합동위원회는 지난해 8월 '역사·전시 공간'으로 꾸미자는 권고안을 내놓았다. 본관은 역사·상징적 공간으로 외형을 보존하면서 내부 전시기능 등 문화공간을 활용하자는 제안이다. 신관과 의회 건물은 소셜 벤처 창업플랫폼과 지역거점별 소통 공간으로 조성하자는 것.

이와 함께 대전시는 '창의문화예술지구' 조성 계획도 진행 중이다. 하지만 구체적인 성과는 없는 상황이다. 가족 체험형 도서관인 '어린이 창의도서관'을 계획하기도 했지만, 공간이 좁고 이전 터와 어울리지 않는다고 판단해 다른 활용방안을 찾고 있다.

최근에는 국립현대미술관과 미술거래소 유치 카드를 꺼내기도 했다. 문화재인 본관 건물 소유권이 내년에 문화체육관광부로 이전돼 공간의 무상 대여를 위해선 문화예술 공간으로 조성해야 해서다. 지난 5월에는 신관 건물을 개조해 창업 기업을 발굴·육성할 '대전창업허브' 공간을 만들기도 했다.

최신 기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