대구경북의 미래, 행정통합에서 찾다(하)
이철우 경북도지사는 7일 "다가올 예고 없는 변화에 새로운 패러다임으로 대처하지 못하면 지역은 완전히 낙오되고 도태될 수도 있다는 점을 절감하고 있다"고 했다.
이날 오전 경북도청 집무실에서 만난 이 지사는 "대구경북이 생산기반을 만들기 위해 따로따로 공단 등을 만들다 보니 집적효과가 떨어지고 기업 유치도 좀처럼 성과를 내지 못하고 있다. 단순한 협력이 아니라 획기적인 방안을 모색해야만 한다"며 이같이 밝혔다.
그는 이어 "단순히 우리가 현재의 제도와 틀 안에서 열심히 한다는 것만으로는 이 절박한 위기를 극복할 수 없다"며 "대구경북 행정이 통합되고 정책을 일원화하면 우리가 당면한 현실 문제를 하나하나 해결해 나갈 수 있을 것"이라고 덧붙였다.
이 도지사는 특히 "대구와 경북은 역사적으로 한 뿌리로서 깊은 동질성을 가지고 있고 다양한 분야에서 대한민국 발전의 중심으로 자리매김해 왔다"며 행정통합의 당위성을 강조했다.

그러면서 "지난해 대구경북 인구가 3만4천733명 줄었다. 이런 추세라면 3~4년 뒤에는 500만명이 깨질 위기인데 아무리 열심히 해도 이런 흐름을 돌리기는 어렵다"며 "대구경북이 합쳐서 서울·경기와 경쟁하고 지방분권을 주도해야 다시 한 번 도약의 기회를 만들 수 있다"고 단언했다.
이 지사는 프랑스와 일본의 행정통합 성공사례를 들며 행정통합 필요성을 재차 역설했다.
그는 "세계는 각 지역을 메가시티로 통합해 경쟁력을 키우고 있다"며 "2016년 프랑스는 22개 시·도를 13개로 통합했는데 평균 인구가 500만명이 됐다. 일본도 오사카시(市)와 부(府를 통합하는 광역행정체계로 도쿄 집중을 개선하려 한다"고 소개했다.
이어 "대구경북 통합은 광역단체장을 합쳐서 뽑고 조직은 기존대로 존속하는 일"이라며 "경북도는 500만명 인구를 관할하는 특별자치도청으로 위상이 더욱 강화될 것이고, 대구시도 특례시로서 현 광역시에 준하는 제도로 운영된다"고 설명했다.
이 도지사는 마지막으로 "아무리 좋은 안이라도 시도민의 공감대와 동의 없이는 불가능하다"며 "대구경북 행정통합에 동참해 달라"고 호소했다.
댓글 많은 뉴스
이재명 90% 득표율에 "완전히 이재명당 전락" 국힘 맹비난
권영세 "이재명 압도적 득표율, 독재국가 선거 떠올라"
[우리 아기가 태어났어요]신세계병원 덕담
'이재명 선거법' 전원합의체, 이례적 속도에…민주 "걱정된다"
"하루 32톤 사용"…윤 전 대통령 관저 수돗물 논란, 진실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