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달 7일 '탄소중립 지방정부 실천연대' 발족 앞두고…대구시 기후변화대응·에너지 정책 점검
대구시의 기후·에너지 정책…시민들에게 어떻게 와닿을지도 고민해야
대구지역 온실가스 감축을 위해 지역 전문가, 시민사회 단체가 머리를 맞댔다.
2일 오후 2시 대구지속가능발전협의회 주최로 '기후위기비상선언 이행을 위한 지역계획 재구성' 세미나가 열렸다. 이날 세미나는 탄소중립 지방정부 실천연대 발족을 앞두고 ▷2030 대구시 기후변화대응 기본계획 ▷대구시 제5차 지역에너지계획'를 점검하고자 마련됐다.
오는 7일 발족하는 탄소중립 지방정부 실천연대는 전국 17개 광역지자체, 62개 기초자치단체가 탄소중립을 선언하고 관련 계획을 수립하는 연합이다. 지방정부가 협력해 온실가스를 줄여나가겠다는 취지다. 대구시가 광역대표를 맡고 수원시가 기초대표를 맡고 있다.
첫 번째 발표자로 나선 진상현 경북대 행정학부 교수는 "1992년 기후변화협약이 채택됐지만 2008년 이명박 정부 들어서서야 온실가스 감출 목표가 세워졌다"며 "경제성장과 환경오염도 상관관계를 보여주는 '환경 쿠츠네스 곡선'에 따르면 한국은 갈림길에 서 있다. 1인당 GDP 성장에 따른 온실가스 배출량 증가 여부는 앞으로의 대책에 달렸다"고 했다.
이어 발표한 남광현 대구경북연구원 연구위원은 대구시가 추진하고 있는 '2030 대구시 기후변화대응 기본계획'을 분석했다. 이에 따르면 2016년 대구시의 온실가스 총배출량은 1만8천254천t CO2eq(이산화탄소 상당량)으로 지난 10년 간 꾸준히 상승해왔다.
남 연구위원은 "대구시는 이번 기후변화대응 기본계획에서 2030년 온실가스 예상배출량(BAU) 대비 약 30%를 감축하는 것을 목표로 삼고 있다"며 "이를 위해서는 공공·수송·폐기물·농축산 등 지자체 차원에서 할 수 있는 구체적인 계획을 세워야 한다"고 주장했다.
대구시의 기후·에너지 정책이 시민들에게 어떻게 와닿을 수 있을지에 대한 고민이 필요하다는 지적도 나왔다.
정숙자 대구환경교육센터 사무처장은 "당위적으로 시민의 실천만을 강조하는 게 아니라 삶과 맞닿을 수 있는 부분이 제시돼야 한다"고 했다.
이에 대해 김상식 대구시 에너지산업팀 팀장은 "시 정책에 에너지가 포함돼 있지만, 에너지를 전담해 정책을 수행할 컨트롤타워는 없는 현실"이라며 "이번 '탄소중립 지방정부 실천연대' 발족이 하나의 계기가 될 것으로 보고, 시민들과의 거버넌스도 확보해 나갈 것"이라고 했다.
댓글 많은 뉴스
이재명 90% 득표율에 "완전히 이재명당 전락" 국힘 맹비난
권영세 "이재명 압도적 득표율, 독재국가 선거 떠올라"
[우리 아기가 태어났어요]신세계병원 덕담
"하루 32톤 사용"…윤 전 대통령 관저 수돗물 논란, 진실은?
'이재명 선거법' 전원합의체, 이례적 속도에…민주 "걱정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