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북도, 부산·울산·강원과 함께 '동해선 철도 상생발전' 업무협약

입력 2020-05-27 15:14:57

"동해선 단선 아닌 복선으로 전철화 해야"

변성완(왼쪽부터) 부산시장 권한대행, 송철호 울산시장, 이철우 경북도지사, 우병렬 강원도 경제부지사가 협약서에 서명한 뒤 기념촬영을 하고 있다. 경북도 제공

동해선 철도를 공유하는 4개 시도가 동해선을 유라시아 철도 네트워크 핵심으로 발전시키기 위해 협력하기로 했다.

경상북도와 부산시, 울산시, 강원도 등 4개 시·도는 27일 부산시청 '동해선 철도 상생발전 업무협약'을 맺었다. 협약식에는 이철우 경북도지사, 변성완 부산시장 권한대행, 송철호 울산시장, 우병렬 강원도 경제부지사, 나희승 한국철도기술연구원장 등이 참석했다.

업무협약에는 철도 중심 인프라 투자와 경제협력 사업을 이행하는 정부의 동아시아 철도공동체 구상 실현에 적극적으로 협력하기로 했다. 동해선을 유라시아 철도 네트워크의 핵심 교통망으로 발전시키기 위해 노력하고, 동해선을 북방 물류·관광 거점으로 활용하기 위해 공동투자하자는 내용도 담겼다.

동해선을 발전시켜 국가 발전을 이끌어갈 수 있도록 하고 안정적인 협력 창구로 '동해선 상생발전 협의회'를 운영하기로 했다. 동해선 철도 인프라 확충사업을 국가사업으로 정해 조기에 시행해달라고 중앙부처와 국회에 건의하기로 했다.

변성완(왼쪽부터) 부산시장 권한대행, 송철호 울산시장, 이철우 경북도지사, 우병렬 강원도 경제부지사가 협약서에 서명한 뒤 기념촬영을 하고 있다. 경북도 제공

업무협약은 2018년 광복절 경축사에서 문재인 대통령이 제안한 동아시아 철도공동체 구상 실현에 기여하기 위해 마련됐다. 지난해 9월 한국개발연구원에서 동북아 철도망 중 효율적인 물류 운송이 가능한 노선 4개를 제시했는데, 서울 기점 3개 노선은 인프라가 완비돼 있지만, 동해선은 단선·단절 등으로 인프라 확충이 시급한 실정이다.

동해선 인프라를 확충하려면 동해선을 공유하는 광역자치단체 간 협력이 필요하다는 지적에 따라 지난해 10월 동해선 상생발전 협의회 구성을 제안, 4개 시·도가 논의한 결과 이날 업무협약을 맺게 됐다.

업무협약서에는 경상북도에서 요구한 동해선(포항~강릉) 복선전철화와 동해선(포항~동해) 전철화 조기개통을 비롯해 태화강~포항역 광역전철화, 강릉~제진 조기추진, 부전역 복합환승역으로 개발 등도 포함됐다.

이철우 도지사는 "동해선 철도가 모두 연결되고 단선철도의 복선화로 철도교통망이 확충된다면 환동해 지역의 경제 발전에 획기적인 변화와 신북방경제 협력시대의 초석을 놓게 될 것"이라고 말했다.

최신 기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