김정은 위원장 건강 이상설…집권 후 90kg→130kg 몸 불어
평소 술·담배 즐겨 건강 악화…족근관증후군 수술한 이력도
남북미 정상회담 취재 미국 기자 "폐병 환자처럼 숨 쉬어" 증언도
김정은 북한 국무위원장은 지난 2018년 4·27 판문점 남북 정상회담 당시 판문각에서 약 200m를 걸어 군사분계선(MDL)을 넘어온 뒤 거친 숨소리를 감추지 못했다. TV화면을 통해 어깨가 들썩이는 게 느껴질 정도였다. 정상회담의 하이라이트였던 문재인 대통령과 '도보다리 산책' 때도 비슷했다. 지난해 겨울엔 백두산에 오르다가 지친 듯 눈밭에 주저앉아 쉬는 모습이 공개됐다. TV화면으로만 보더라도 체력이 바닥이었다.
독재국가에서 최고 권력자의 건강 문제는 체제 붕괴와 주변국의 안보를 뒤흔드는 초대형돌발변수라는 점에서 국제적 관심사다. 정보 당국에 따르면 2012년 집권 당시 약 170~172cm 키에 90kg 정도였던 김 위원장은 몇 년 사이 130kg까지 불어난 것으로 파악된다. 할아버지인 김일성 주석을 따라 하기 위해 몸짓을 불린 것으로 알려진다. 여기에다 유전과 식습관 요인 등이 합쳐져 초고도비만 상태가 됐다. 과체중이 고지혈증이나 고혈압, 당뇨병 같은 만성질환을 부른다는 건 상식이다. 평소 술과 담배를 즐기는 것도 건강을 악화시킨 요인으로 전문가들은 보고 있다.
김 위원장의 건강 상태는 내부를 통해 그 정보가 나올 수 없는 만큼 대외 활동 때마다 관심사로 떠올랐다. 지난해 4월 푸틴 러시아 대통령과의 회담에선 얼굴이 붉게 상기돼 있어 건강 악화설이 제기됐다.
잊을 만 하면 떠돌곤 하던 김 위원장의 건강이상설이 사실로 드러난 적도 있다. 2014년 9월 평양에서 부인 리설주와 함께 모란봉악단 공연을 관람한 뒤로 공개석상에 나타나지 않아 '중상(重傷)설' 등이 터져 나왔다. 이후 40일 만에 지팡이를 짚은 채 '위성과학자 주택지구' 현장 지도에 나섰다. 국가정보원은 국회보고에서 '족근관증후군'을 앓아 물혹 제거 수술을 받은 것으로 파악하고 있다고 밝혔다.
북한의 '민족 최대의 명절'이라는 김일성 생일(4월15일·태양절)에 모습을 드러내지 않으면서 불거진 '심혈관계 시술설'에서 보듯 김 위원장의 심혈관계는 특히 취약한 것으로 전해진다. 초고도 비만인 데다 가족력이 있기 때문이다. 실제로 뚱뚱했던 김일성 주석과 김정일 국방위원장 모두 '심장마비'로 숨졌다.
폐 건강도 좋지 않은 것으로 알려진다. 지난해 6월 판문점에서 열린 남북미 정상회담 이후 결정적 증언이 나왔다. 현장 취재를 한 터커 칼슨 미 폭스뉴스 진행자는 "김 위원장이 폐기종(폐 세포 파괴와 불규칙적 확장을 보이는 질병) 환자처럼 숨을 쌕쌕 몰아쉬었다"고 밝혔다.
댓글 많은 뉴스
이준석, 전장연 성당 시위에 "사회적 약자 프레임 악용한 집단 이기주의"
5·18묘지 참배 가로막힌 한덕수 "저도 호남 사람…서로 사랑해야" 호소
[전문] 한덕수, 대선 출마 "임기 3년으로 단축…개헌 완료 후 퇴임"
민주당 "李 유죄 판단 대법관 10명 탄핵하자"…국힘 "이성 잃었다"
대법, 이재명 '선거법 위반' 파기환송…"골프발언, 허위사실공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