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0명을 한번에 검사'…코로나19 취합검사법 도입

입력 2020-04-09 15:09:18 수정 2020-04-09 15:26:16

질병관리본부·대한진단검사의학회, 코로나19 혼합검체 검사법 마련
환자 진료용 아닌 증상없는 위험군 질병 감시용

지난달 영남대학교병원 드라이브 스루 선별진료소에서 의료진이 코로나19 의심 환자의 검체를 채취해 지퍼락에 밀봉하고 있다. 매일신문 DB
지난달 영남대학교병원 드라이브 스루 선별진료소에서 의료진이 코로나19 의심 환자의 검체를 채취해 지퍼락에 밀봉하고 있다. 매일신문 DB

정부가 신종 코로나바이러스 감염증(코로나19)을 신속하게 확인하고자 최대 10명의 검체를 한번에 검사하는 '취합검사법'(Pooling)을 도입한다.

질병관리본부와 대한진단검사의학회는 9일 여러 사람의 검체를 취합해 한 번에 검사하는 취합검사법 프로토콜 제작을 완료했다고 밝혔다.

취합검사법은 여러 명의 검체를 혼합해 하나의 검체로 혼합해 검사하고, 양성이 나오면 남은 검체로 다시 개별 재검사하는 방식이다. 증상은 없으나 감염 예방을 위해 주기적인 검사가 필요한 요양시설 입소자 등 감염 위험군에서 코로나19를 선별하는 데 유용하다.

취합검사 프로토콜은 질본과 대한진단검사의학회 소속 3개 의료기관이 협업해 650회 평가 시험을 거쳤으며, 적용시 10개 검체를 혼합해 시험해도 개별 검체 대비 96%이상의 민감도 유지가 확인됐다.

정은경 본부장은 "취합검사법은 코로나19 확인 검사로는 사용되지 않고, 증상이 없는 감염위험군의 질병감시 목적으로만 사용되므로, 환자진료 정확성을 걱정할 필요는 없다"며 "드러나지 않은 지역사회 환자발견으로 질병예방에 더욱 기여하게 될 것"이라고 덧붙였다.

현재 취합검사법은 대량의 검사를 신속하게 진행하기 위해 외국에서도 활발하게 연구되고 있다. 미국의학회지(JAMA)에서는 제한된 자원을 효율적으로 사용하기 위한 방법으로 소개되기도 했다.

최신 기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