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생존에서 생계로" 유럽, 앞다퉈 코로나19 봉쇄완화 타진…성급한 정상화에는 경계의 목소리

입력 2020-04-09 14:42:43 수정 2020-04-09 16:31:47

이탈리아·오스트리아·덴마크 등 2차 유행 우려에도 발표
점진적 시행…경제 완전정상화보다 바이러스와 일시 공존
전문가 "백신개발 전까지 보건위험 종식없다" 장기전 경고

영국의 코로나19 사태와 관련해 엘리자베스 여왕 2세가 전하는 메시지가 8일(현지시간) 런던 피커딜리 서커스 건물 스크린에 나타나고 있다. 연합뉴스
영국의 코로나19 사태와 관련해 엘리자베스 여왕 2세가 전하는 메시지가 8일(현지시간) 런던 피커딜리 서커스 건물 스크린에 나타나고 있다. 연합뉴스

유럽에서 코로나19 확산세가 둔화한 국가들이 봉쇄조치 완화를 타진하고 있으나 성급한 정상화는 경계해야 한다는 지적도 제기되고 있다.

8일(현지시간) 뉴욕타임스(NYT), 월스트리트저널(WSJ) 등에 따르면 이탈리아, 오스트리아, 덴마크 등은 최근 코로나19 확산이 진정세를 보이기 시작함에 따라 엄격한 제한 조처를 점차 철회하는 방안을 검토하고 있다.

주세페 콘테 이탈리아 총리는 전날 내각 장관 및 기술과학계 전문가들과 회의를 하고 봉쇄령의 점진적 완화, 이른바 '2차 대응' 개시 시점을 논의했다고 현지 언론이 전했다. 회의에선 오는 15일부터 일부 생산 활동을 제한적으로 우선 재개토록 하고 전국 이동제한령은 내달 4일 이후 완화하는 이른바 2단계 해법이 거론된 것으로 알려졌다.

앞서 오스트리아도 오는 14일 소규모 상점 영업 재개를 시작으로 하는 구체적 봉쇄 조처 완화 일정표를 발표했고, 체코도 9일부터 일부 상점의 운영을 재개하겠다고 밝혔다. 덴마크 역시 15일부터 탁아소와 유치원, 초등학교 문을 다시 여는 것을 시작으로 코로나19에 따른 제한 조치를 점진적으로 풀 것이라고 밝혔다. 노르웨이도 20일부터 점차 봉쇄 조처를 완화하겠다고 밝혔다.

NYT는 "(코로나19 확산세 둔화로) 병원 중환자실의 부담이 줄어들면서 각국 대화의 방점이 당장의 목표인 생존에서 장기적인 목표인 생계 보전으로 옮겨갔다"고 분석했다. 다만 성급한 정상화에 나섰다가 되레 대량 감염 사태가 재발하지 않도록 각국은 주의를 기울이고 있다고 WSJ은 전했다.

이탈리아는 검사 역량 증진과 의료진 증원과 더불어 확진자들의 밀접 접촉자들을 추적하기 위해 모바일 앱을 사용할 계획이다. 오스트리아도 상점 내부에서나 대중교통 이용 시 얼굴을 가리도록 하는 새 규정을 도입했으며 사회적 거리두기 조처도 몇 달 간 유지할 예정이다.

유럽연합(EU) 행정부 격인 집행위원회는 8일(현지시간) EU 회원국과 솅겐협정 가입국에 코로나19 확산을 막기 위해 앞서 취한 임시 EU 입국 제한 조치를 다음달 15일까지 연장할 것을 요청했다고 밝혔다.

전문가들은 다만 코로나19 확산세가 누그러져도 적어도 몇 개월 동안은 완전한 국가 정상화보다는 바이러스와의 공존을 모색해야 한다고 지적한다. 오스트리아 정부가 봉쇄 조처 완화와 관련해 자문한 발터 샤헤르마이어 빈대학교 수학과 교수는 "효과적 백신이 개발되기 전까지 이 상황은 종식되지 않을 것"이라며 "2차 대량 감염 가능성은 항상 있다"고 경고했다.

이탈리아 국립 고등보건연구소(ISS)의 조반니 레차 감염병국장은 "신규 확진자 수 감소와 무관하게 이 바이러스는 우리 계속 있을 것이라는 점을 기억해야 한다"며 "장기전에 돌입해야 할 것"이라고 지적했다.

최신 기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