시외·고속버스터미널 '썰렁'…"대구~서울, 빈차 운행도"

입력 2020-04-06 18:53:34 수정 2020-04-06 21:34:38

이용객 줄면서 주요 버스터미널 인근 상가 휑~
상인, 택시기사 등 "손님 찾아 볼 수 없어"

5일 오후 12시에 찾은 대구 북구 서대구고속버스터미널 대합실 안에는 사람이 거의 없고 한산했다. 변선진 기자
5일 오후 12시에 찾은 대구 북구 서대구고속버스터미널 대합실 안에는 사람이 거의 없고 한산했다. 변선진 기자

코로나19 사태에 대구의 주요 버스터미널 주변 상권이 직격탄을 맞았다. 대구를 오가는 시외·고속버스 노선이 줄어들면서 유동인구가 급감했고 그 여파가 터미널 주변 상가로 퍼져 손님이 끊겼다.

지난 5일 오후 대구 북구 서대구고속버스터미널 안은 주말임에도 이용객을 찾아볼 수 없을 정도로 텅 비어 있었다. 터미널 주변 편의점과 카페, 음식점 등도 대부분 문을 닫았다. 인근 주민 A(34) 씨는 "원래 주말에는 다른 지역에서 오는 여행객과 고향으로 내려온 대학생, 직장인 등으로 북적였다"며 "하지만 코로나19 이후 눈으로 찾아볼 수 없을 정도로 이용객이 급감했다"고 말했다.

터미널 앞 도로에는 택시 10여 대가 줄지어 있었다. 기자가 지켜본 1시간 동안 손님을 태워 나간 택시는 고작 한 두 대 뿐이었다. 개인택시 기사 B(50) 씨는 "주말이면 사람들이 꽤 지나다니는데 코로나19가 터지고부터는 아예 사람이 오지 않는다"고 하소연했다.

또 다른 택시기사 C(56) 씨는 "이 근처에는 산업단지가 있어 외국인 근로자가 많이 왔는데 요즘은 통 보이지 않는다"며 "대구에서 코로나19가 확산된 이후 대구를 많이 떠난 것 같다"고 했다.

서대구고속터미널과 멀지 않은 북부시외버스터미널 상황은 마찬가지. 터미널 안에는 아예 사람이 없었다. 한 시외버스업체 관계자는 "코로나19 확산 여파로 대구와 서울을 오가는 버스가 승객 한 명 없이 운행되기도 한다"며 "이용객이 없다고 운행을 하지 않으면 과징금이 부과되기 때문에 어쩔 수 없이 노선을 유지하고 있다"고 했다.

6일 오후 대구 북부시외버스터미널 인근 외국인 상가에 인적이 거의 없다. 변선진 기자
6일 오후 대구 북부시외버스터미널 인근 외국인 상가에 인적이 거의 없다. 변선진 기자

이곳은 특히 인근에 집단 감염이 발생한 한사랑요양병원이 있어 타격이 더 커 보였다. 터미널 방문객뿐 아니라 주민들도 외출을 꺼리기 때문이다. 잡화 판매상인 D(42) 씨는 "코로나19 이후 북부시외버스터미널을 찾는 사람이 거의 없어졌다"며 "우리 가게 같은 경우에는 하루 종일 손님이 한 명도 안 올 때도 있다"고 했다. 비산동 주민 E(71) 씨는 "요양병원 집단 감염까지 터져 사람들이 서로 믿지 못하는 분위기가 됐다"고 했다.

최신 기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