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역정치권, 대구시청 신청사 입지확정 후폭풍 예의주시

입력 2019-12-23 16:51:36 수정 2020-01-29 17:39:25

각 지역의 응축된 정치적 에너지 분출방향에 따라 정치지형 요동 가능성
유치실패 지역 정치인들 좌불안석, 한국당 정치력 부재 부각되면 총선구도에도 영향 전망

22일 대구시청 신청사 입지가 결정된다. 시민참여단 250명이 대구시 동구 팔공산맥섬석유스호스텔에서 합숙하며 공론 민주주의 방식으로 신청사 위치를 결정한다. 유치전에는 중구(동인동 현 대구시청 본관)·북구(옛 경북도청 터)·달서구(옛 두류정수장 터)·달성군(화원읍 한국토지주택공사 분양홍보관 부지) 4개 구·군이 뛰어들었다. 사진은 달성군의 신청사 유치를 위한 홍보행사 모습. 연합뉴스
22일 대구시청 신청사 입지가 결정된다. 시민참여단 250명이 대구시 동구 팔공산맥섬석유스호스텔에서 합숙하며 공론 민주주의 방식으로 신청사 위치를 결정한다. 유치전에는 중구(동인동 현 대구시청 본관)·북구(옛 경북도청 터)·달서구(옛 두류정수장 터)·달성군(화원읍 한국토지주택공사 분양홍보관 부지) 4개 구·군이 뛰어들었다. 사진은 달성군의 신청사 유치를 위한 홍보행사 모습. 연합뉴스

대구시청 신청사 부지확정 결정이 차기 총선을 채 넉 달도 남겨놓지 않은 지역 정치권에 만만치 않은 후폭풍으로 작용할 전망이다. 신청사 유치전에 후보지 지역의 '정치적 에너지'가 응축될 대로 응축된 터라 선정·탈락의 희비가 지역의 정치지형 변동에 영향을 미칠 것이 불가피하기 때문이다.

특히 신청사 유치 실패 지역 경우 책임론이 현역 국회의원, 더 나아가 자유한국당에까지 미칠 수 있어 지역 정치권은 예의주시하고 있다.

당장 이들 지역 한국당 국회의원들에게는 발등에 불이 떨어졌다. 황교안 대표가 대폭 물갈이 의지를 밝힌 가운데 버팀목 역할을 할 것으로 기대했던 지역 여론마저 악화될 수 있기 때문이다.

관건은 지역의 정치적 에너지가 어디로 분출되느냐다. 책임론이 부각되면 희생양이 필요해 그 타깃이 현역 국회의원들에게 향할 수 있다.

1차적으로는 구청장 등 기초자치단체이 화살을 맞겠지만 이들은 불과 1년여 전에 현역 국회의원들이 공천한 인사들이다.

이런 후폭풍을 우려, 국회의원들은 대구시 신청사 입지결정을 내년 총선 이후로 미뤄달라고 요청하기도 했다.

지역 정치권 관계자는 "엄혹한 공천 분위기에서 현역 국회의원들이 기대할 수 있는 최대 승부처는 '경선'인데 지역여론이 흉흉해지면 경선 승리마저 장담할 수 없고 정치 신인들로부터의 공격도 면하기 어려워질 것"이라고 말했다.

현역 국회의원과 기초단체장 사이가 원만하지 않은 지역의 경우 책임공방이 이전투구양상으로까지 비화할 수 있다는 우려도 나온다.

파장이 일파만파로 확산하면 여론이 한국당의 정치력 부재로 이어질 수도 있어 이 경우에는 지역의 총선구도 자체가 뒤틀릴 수 있다.

한국당 관계자는 "다당구도를 촉진하는 연동형 비례대표제도가 도입되면 보수진영 내부에서도 치열한 경쟁이 펼쳐질 수 있다"며 갈등의 조속한 매듭을 촉구했다.

최신 기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