농식품부 '제3차 농림식품과학기술 육성 종합계획' 발표
정부가 농림식품과학기술의 경쟁력을 2024년까지 세계 최고 수준인 미국의 85% 수준까지 끌어올리기로 했다.
농림축산식품부는 23일 농림식품과학기술의 경쟁력 강화를 위해 이 같은 내용을 골자로 한 '제3차 농림식품과학기술 육성 종합계획'을 발표했다.
이번 계획은 농림식품과학기술육성법에 따라 5년마다 농림식품과학기술의 중장기 정책 목표와 기본방향을 설정하고자 수립하게 돼 있다.
우선 농식품부는 '개방형 혁신을 통한 지속가능한 미래 농림식품산업 육성'을 비전으로 삼았다.
이와 함께 ▷무인 자동화 3세대 스마트팜과 수급 예측 시스템 고도화 등 스마트 농업 기술 중점 개발 ▷유전자 가위 기술을 활용한 작물 알레르기 제거 등 농생명 바이오 산업 육성 ▷메디푸드·식물성 대체 단백질·포스트바이오틱스 등 차세대 농식품 개발 ▷농림용 인공위성과 신종질병 발생 예측 등 재난 대응 기술 개발 ▷맞춤형 치유농업과 건강한 먹거리 개발 등 국민 삶의 질에 기여 등 5가지 목표를 제시했다.
농식품부는 농식품 연구 데이터를 체계적으로 수집하고 연구자 간 공유를 지원하는 연구 데이터 플랫폼을 구축한다.
내년에는 스마트팜 분야 빅데이터 플랫폼을 구축해 농가와 연구자의 생육·환경·제어 데이터를 한 곳에 모은다.
또 화학·기계·전자 등 다른 분야의 기술을 접목한 개방형 연구를 확대해 융복합 혁신 기술을 확보한다.
그동안 국가 중심으로 추진하던 농림식품 연구의 문제점을 개선하고자 연구 수행 시 민간의 참여를 늘린다.
민간 수요자가 직접 투자하는 연구개발에는 정부 자금 지원도 확대한다.
농식품부는 "개발 기술이 실용화·사업화까지 원활하게 이어질 수 있도록 시제품 개발·신뢰성 검증 등 기술 사업화 연구개발 사업을 확대하겠다"며 "농림식품 분야에 특화한 기술 보증제도를 신설하는 등 금융 지원을 강화할 것"이라고 강조했다.
이밖에 농식품부는 AI·빅데이터·로봇·바이오 등 첨단 기술을 농산업과 융복합해 교육하는 특수 대학원을 운영한다.
내년에는 스마트팜과 가축 전염병 분야 2개 특수대학원을 운영할 계획이다.
댓글 많은 뉴스
이준석, 전장연 성당 시위에 "사회적 약자 프레임 악용한 집단 이기주의"
"대법원장 탄핵 절차 돌입"…민주 초선들 "사법 쿠데타"
[전문] 한덕수, 대선 출마 "임기 3년으로 단축…개헌 완료 후 퇴임"
민주당 "李 유죄 판단 대법관 10명 탄핵하자"…국힘 "이성 잃었다"
5·18묘지 참배 가로막힌 한덕수 "저도 호남 사람…서로 사랑해야" 호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