푸틴-젤렌스키, '우크라 동부 전면적 휴전·추가 포로교환' 합의

입력 2019-12-10 15:06:16

우크라 분쟁 해결위한 러·우크라·獨·佛 정상 파리 4자회담서
푸틴-젤렌스키 첫 회동…"신뢰 형성했지만 핵심 쟁점 해소에는 실패"

볼로디미르 젤렌스키 우크라이나 대통령(왼쪽부터)과 앙겔라 마르켈 독일 총리, 에마뉘엘 마크롱 프랑스 대통령, 블라디미르 푸틴 러시아 대통령이 9일(현지시간) 프랑스 파리 엘리제 궁에서
볼로디미르 젤렌스키 우크라이나 대통령(왼쪽부터)과 앙겔라 마르켈 독일 총리, 에마뉘엘 마크롱 프랑스 대통령, 블라디미르 푸틴 러시아 대통령이 9일(현지시간) 프랑스 파리 엘리제 궁에서 '우크라이나 분쟁' 해법 논의를 위한 4자회담 직후 공동 기자회견을 하고 있다. 연합뉴스

볼로디미르 젤렌스키 우크라이나 대통령(왼쪽부터)과 에마뉘엘 마크롱 프랑스 대통령, 블라디미르 푸틴 러시아 대통령, 앙겔라 마르켈 독일 총리가 9일(현지시간) 프랑스 파리 엘리제궁에서 우크라이나 분쟁 사태 해결 방안을 논의하기 위한 4개국 정상회담에 참석하고 있다. 연합뉴스
볼로디미르 젤렌스키 우크라이나 대통령(왼쪽부터)과 에마뉘엘 마크롱 프랑스 대통령, 블라디미르 푸틴 러시아 대통령, 앙겔라 마르켈 독일 총리가 9일(현지시간) 프랑스 파리 엘리제궁에서 우크라이나 분쟁 사태 해결 방안을 논의하기 위한 4개국 정상회담에 참석하고 있다. 연합뉴스

블라디미르 푸틴 러시아 대통령(왼쪽부터)과 에마뉘엘 마크롱 프랑스 대통령, 앙겔라 마르켈 독일 총리, 볼로디미르 젤렌스키 우크라이나 대통령이 9일(현지시간) 프랑스 파리 엘리제 궁에서 우크라이나 분쟁 사태 해결 방안을 논의하기 위한 4자 회담을 갖기 위해 도착하고 있다. 연합뉴스
블라디미르 푸틴 러시아 대통령(왼쪽부터)과 에마뉘엘 마크롱 프랑스 대통령, 앙겔라 마르켈 독일 총리, 볼로디미르 젤렌스키 우크라이나 대통령이 9일(현지시간) 프랑스 파리 엘리제 궁에서 우크라이나 분쟁 사태 해결 방안을 논의하기 위한 4자 회담을 갖기 위해 도착하고 있다. 연합뉴스

러시아와 우크라이나가 우크라이나 동부 지역(돈바스 지역)에서의 정부군과 친(親)러시아 분리주의 반군 간 무력 분쟁을 중단시키기 위해 올해 말까지 완전하고 전면적인 휴전을 이행하기로 했다. 양측은 또 돈바스 지역 무력 분쟁 과정에서 발생한 포로들의 추가적 교환에도 합의했다.

블라디미르 푸틴 러시아 대통령과 볼로디미르 젤렌스키 우크라이나 대통령은 9일(현지시간) 앙겔라 메르켈 독일 총리, 에마뉘엘 마크롱 프랑스 대통령과 함께 프랑스 파리에서 개최한 우크라이나 분쟁 해결을 위한 '노르망디 형식' 4자 정상회담을 통해 이같이 합의했다.

정상들은 회담 뒤 채택한 공동성명(코뮈니케)에서 "2019년 말까지 휴전 지원을 위한 모든 필수적 조치의 이행으로 보강된, 완전하고 전면적 휴전 협정 이행을 보장하기로 한다"고 밝혔다. 또 "2020년 3월 말까지 러시아, 우크라이나, 유럽안보협력기구(OSCE) 대표로 구성된 3자 접촉그룹을 통해 돈바스 지역의 새로운 3개 지점에서 전력을 철수하도록 하는 합의를 지지한다"고도 전했다.

성명에는 이밖에 "올해 연말까지 '모두 대 모두'의 원칙에 기초해 분쟁과 관련해 억류된 인사들의 석방과 교환을 접촉그룹이 지원하는 것을 지지한다"는 내용도 포함됐다.

이번 회담은 푸틴 대통령과 젤렌스키 대통령이 처음으로 얼굴을 마주하고 대화함으로써 분쟁 해소와 신뢰 형성의 기반을 마련했다는 데 의의가 있다는 평가가 나온다. 2014년 6월 6일 프랑스의 노르망디 상륙작전 70주년 기념식에서 회동해 우크라이나 문제를 논의한 뒤 러시아, 우크라이나, 프랑스, 독일의 4자 정상회담은 '노르망디 형식 회담'으로 불린다.

돈바스 지역(도네츠크주와 루간스크주)에선 정부군과 반군 간의 크고 작은 교전과 뒤이은 휴전이 이어져 오고 있다. 무력 충돌로 지금까지 1만3천 명 이상이 숨지고, 100만명가량이 피난한 것으로 파악된다.

양측은 그러나 이번 회담에서 돈바스 지역의 자치를 위한 지방 선거 일정 등 핵심 내용에 대한 이견을 해소하는 데에는 실패했다고 AP통신은 보도했다. 우크라이나 측은 지방 선거가 실시되기 전에 먼저 우크라이나 정부가 이 지역 국경통제권을 회복해야 한다는 입장이지만, 러시아는 일단 지방선거를 실시해 이 지역에 자치권을 부여하는 게 우선이라고 주장하고 있다.

최신 기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