매매가격 3.3㎡당 지난해 844만원→891만원…신축은 1천183만원→1천162만원으로 1.8% 하락
부동산정보업체 직방 관계자 "재건축 통한 투자수익 확보 기대심리 반영이 원인"
입주 30년이 넘은 노후 아파트 가격이 올 들어 오름세를 보이면서 신규 아파트와 가격 차이가 줄어든 것으로 나타났다.

9일 부동산정보서비스업체 직방에 따르면 올해 대구에서 입주한 지 30년이 지난 아파트(노후 아파트)의 매매가격은 3.3㎡당 891만원으로 지난해 844만원보다 5.6% 오른 것으로 조사됐다. 대구 노후 아파트 매매가는 2015년 3.3㎡당 681만원에서 2017년 758만원으로 뛰었고, 지난해에는 전년 대비 11.3%나 오른 844만원을 기록했다.
반면 입주 5년 이하 신축 아파트는 3.3㎡당 매매가격이 지난해 1천183만원에서 올해 1천162만원으로 1.8% 하락했다. 신축 아파트 매매가는 2015년 3.3㎡당 1천77만원을 기록했지만 이듬해 991만원으로 떨어졌고, 지난해 1천183만원으로 2년 만에 19.3% 급등했다.
이에 따라 신축 아파트 대비 노후 아파트 매매가는 2016년부터 지난해까지 3년 연속 0.71배를 유지하다가 올 들어 0.77배로 높아졌다. 전국 특별·광역시 가운데 노후 아파트 가치가 상승한 곳은 부산(0.79배), 울산(0.77배), 대구 등 3곳에 불과하다.
노후 아파트 가치가 상대적으로 높아진 것은 노후 아파트 재건축 투자에 대한 기대수익이나 매력도가 높기 때문으로 풀이된다. 도심 전역에서 재건축사업이 활발하게 이뤄지면서 투자심리가 점차 커진 게 원인이라는 분석이다.
직방 관계자는 "신규 아파트가 노후 아파트보다 높은 거래가격에 거래되고 있지만 차이가 점차 줄어드는 양상"이라며 "노후 아파트의 가치 상승은 재건축을 통한 투자수익 확보 기대심리가 반영된 것이 원인"이라고 말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