北 '10일 UN안보리 북한 인권토의' 반발…"강력 대응할 것"

입력 2019-12-05 09:32:07

김성 유엔주재 북한대사 "북한 인권 다루는 회의 심각한 도발"
지난해 처음으로 지지표 확보못해 토의 무산

김성 유엔주재 북한대사. 연합뉴스
김성 유엔주재 북한대사. 연합뉴스

북한이 유엔 안전보장이사회의 '북한 인권토의' 개최에 반대하는 '경고장'을 보냈다.

로이터통신 등에 따르면 4일(현지시간) 김성 유엔주재 북한대사는 안보리에 보낸 이메일 성명에서 "북한의 인권 상황을 다루는 어떤 회의도 심각한 도발"이라며 "강력히 대응할 것"이라고 밝혔다.

그러면서 "이는 미국의 적대정책에 편드는 것으로, 한반도 긴장 완화와 핵이슈 해법을 도와주기는커녕 오히려 훼손하게 될 것"이라고 덧붙였다.

김 대사는 "안보리가 북한 인권토의를 밀어붙인다면, 한반도 상황은 다시 악화할 것"이라고 거듭 경고했다.

안보리 순회의장국인 미국을 비롯해 영국, 프랑스, 독일은 세계 인권선언의 날인 12월 10일 북한 인권토의 개최를 추진하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안보리가 북한 인권 토의를 안건으로 채택하려면 '절차 투표'를 거쳐야 한다.

투표에서 5개 상임이사국과 10개 비상임이사국이 참여하는데 9개국 이상의 찬성표가 필요하다. 미국, 영국, 프랑스, 중국, 러시아 등 5개 상임이사국의 거부권(veto)은 적용되지 않는다.

미국은 지난해에도 북한 인권토의를 추진했지만, 충분한 지지표를 확보하지 못하면서 회의 요청을 철회한 바 있다. 2014년부터 매년 개최된 안보리 북한 인권토의가 무산된 것은 지난해가 처음이었다.

올해는 안보리 지형이 달라져 어떤 결과가 나올지 주목된다.

지난해의 경우 볼리비아·카자흐스탄 등 일부 비상임 이사국들이 중국·러시아 중심의 '반대 전선'에 가세하며 북한 인권토의가 이뤄지지 않았다.

현재 10개 비상임 이사국은 독일, 벨기에, 폴란드, 코트디부아르, 도미니카공화국, 적도기니, 인도네시아, 쿠웨이트, 페루, 남아프리카공화국이다.

최신 기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