검찰이 4일 청와대에 대한 강제 수사에 나서면서 청와대를 정조준했다. 임기 반환점을 막 돈 정권의 심장부를 향해 검찰이 수사의 칼날을 들이밀면서 검찰과 청와대가 전면적으로 대결하는 양상으로 치닫고 있다. 검찰 수사결과가 어떻게 나오든 문재인 정부에는 치명타를 날릴 것으로 보인다.
검찰이 이날 압수수색에 나선 것은 유재수 전 부산 경제부시장에 대한 감찰 무마 의혹은 물론, 김기현 전 울산시장에 대한 하명 수사 의혹에 대해서도 강제 수사를 통해 증거물을 확보하려는 시도로 보인다. 청와대가 일관되게 제기된 의혹을 부인하고 있는 것은 물론, 검찰 수사가 부당하다는 논리까지 펴고 있어 강제 수사를 통해 증거를 찾아야한다는 것이다.
검찰의 수사 데드라인이 당초 어디까지였느냐에 대해서는 논란이 분분했지만 이날 청와대 압수수색으로 "데드라인은 없다"라는 선언을 검찰이 한 것으로 보인다.
청와대 민정수석실에 근무했던 검찰 수사관이 사망하는 사건이 터지면서 검찰이 중대 결심을 한 것으로 관측된다. 윤석열 검찰총장은 숨진 수사관의 장례식장에 직접 찾아가 조문한 바 있다.
이번 수사에서 국민이 납득할만한 성과물이 나오지 않을 경우, 윤 총장이 입게될 충격이 상당하겠지만 검찰이 정면 돌파를 택한 것은 그동안의 수사에서 상당량의 증거를 이미 확보했다는 분석도 나오고 있다.
감찰 무마 의혹 사건의 경우, 유 전 부시장을 이미 구속해 수사에 탄력을 받았다. 검찰은 이인걸 전 특감반장과 특감반원 조사를 통해 당시 감찰에서 유 전 부시장의 비위가 이미 상당 부분 포착됐음을 확인한 것으로 알려졌다.
김기현 전 울산시장에 대한 하명 수사 의혹도 청와대가 이날 전면 부인하는 브리핑까지 가졌지만 혐의점을 발견했을 가능성도 제기되고 있다.
때문에 청와대 압수수색이라는 강수를 둘 수 있었던 것으로 검찰 안팎에서는 보고 있다.
검찰의 거친 압박에 대해 청와대가 어떤 수단을 사용할지는 미지수다. 일단은 여당인 더불어민주당이 나서 방패막을 치고 검찰에 대한 역공에 들어갔다.
민주당은 이날 검찰을 향해 사실상의 '전쟁'을 선포하면서 검찰 수사를 견제하기 위한 특검카드를 꺼내들었다.
댓글 많은 뉴스
문재인 "정치탄압"…뇌물죄 수사검사 공수처에 고발
이준석, 전장연 성당 시위에 "사회적 약자 프레임 악용한 집단 이기주의"
[전문] 한덕수, 대선 출마 "임기 3년으로 단축…개헌 완료 후 퇴임"
대법, 이재명 '선거법 위반' 파기환송…"골프발언, 허위사실공표"
민주당 "李 유죄 판단 대법관 10명 탄핵하자"…국힘 "이성 잃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