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문정권 3대 의혹 해부]'하명의혹' 불러온 김기현 둘러싼 의혹, 대체 뭐길래?

입력 2019-12-03 17:19:47

검찰은 청와대와 경찰이 당시 자유한국당 소속이던 김기현 전 시장의 재선을 막으려고 사실상 표적수사를 벌였을 가능성을 배제하지 않고 선거개입 여부를 둘러싼 수사에 본격 착수했다. 연합뉴스 연합뉴스
검찰은 청와대와 경찰이 당시 자유한국당 소속이던 김기현 전 시장의 재선을 막으려고 사실상 표적수사를 벌였을 가능성을 배제하지 않고 선거개입 여부를 둘러싼 수사에 본격 착수했다. 연합뉴스 연합뉴스

김기현 전 울산시장 측근 비리 의혹은 모두 세 갈래로 황운하 현 대전지방경찰청장이 2017년 8월 울산경찰청장으로 부임한 직후에 본격적인 수사가 진행됐다.

김 전 시장 비서실장이 건설 현장에 특정 레미콘업체 선정을 강요했는지, 김 전 시장 동생이 아파트 건설 사업에 부당하게 개입했는지, 김 전 시장 의원 시절 측근이 불법 정치자금을 받았는지 등 3건이 각각 당시 수사 대상으로 올랐다.

이 가운데 현재까지 알려진 청와대 '하명 의혹'과 관련된 것은 비서실장 A씨 사건이다. 청와대가 A씨 관련 여러 비리 첩보를 2017년 11월 경찰청으로 보냈으며 경찰청은 12월 말에 울산경찰청으로 내려 보냈다는 것이 지금까지 밝혀진 내용이다.

울산경찰청은 6·13 지방선거를 3개월가량 앞둔 2018년 3월 16일 울산시청 시장 비서실과 건축 관련 부서 등 5곳을 압수수색한다. 당시 김기현 시장은 자유한국당 단독 공천을 받아 울산시장 재선 도전을 공식화한 때다.

이후 울산경찰은 A씨가 울산 북구 한 아파트 건설 현장에 특정 레미콘 업체 물량을 받도록 강요한 것(직권남용 권리행사방해)으로 보고 2018년 5월 울산지검에 사건을 넘겼으나 A씨는 올해 3월 무혐의 판정을 받았다.

이 사건이 다시 수면 위로 떠오른 것은 지난달 26일 서울중앙지검 공공수사2부(부장검사 김태은)가 수사 시작이 청와대 첩보였다는 사실을 확인하면서다. 논란의 핵심은 이 첩보가 어디에서 생산됐으며, 첩보가 청와대에서 경찰청으로 넘어가는 과정에서 수사를 지시한 정황이 있느냐는 것이다.

최신 기사